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9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by joocabin 2024. 5. 5.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9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69-41

 

풀이에 대한 접근) 조선 의용대를 개편하여 편입, 총사령 지청천 등에서 한국광복군이다. 

 

① 자유시 참변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 - 대한 독립군단입니다.

②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에 승리하였다. (×) - 조선 혁명군입니다.

③ 쌍성보 전투에서 한중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 - 한국 독립군입니다.

④ 국내 정진군을 편성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 한국 광복군입니다.

⑤ 홍범도 부대와 연합하여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 - 1920년대 북로 군정서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2

 

풀이에 대한 접근) 북한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에서 6.25 전쟁이다. 

 

① 애치슨 라인이 발표되었다. (×) - 6. 25 전쟁이 되는 배경입니다.

② 가쓰라 · 태프트 밀약이 체결되었다. (×) - 1905년에 을사늑약 이전 체결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이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지배권을, 미국은 대한 제국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을 서로 인정하였습니다. 

③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 - 광복 이후 남한 단독정부 수립 이전 1945년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외상이 회의를 열었습니다. 

④ 흥남에서 대규모 철수 작전이 전개되었다. (○) - 6.25 전쟁 중 중공군의 개입으로 육지로의 피란길이 막혀버린 국군과 피란민은 흥남 부두에서 바다를 통해 철수하였습니다. 

⑤ 김구, 김규식 등이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다. (×) - 1948년 남한 단독 선거로 분단이 초래될 위기가 높아지자 김구, 김규식은 남북 협상을 제의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3

 

풀이에 대한 접근) 내각 책임제 속, 부정 선거 원흉의 처단 등에서 장면 정부이다.

 

① 국민 교육 헌장을 읽고 있는 학생 (×) - 박정희 정부입니다.

② 서울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 - 노태우 정부입니다.

③ 개성 공단 착공식을 취재하는 기자 (×) - 노무현 정부입니다.

④ 함평 고구마 피해 보상 투쟁에 참여하는 농민 (×) - 박정희 정부 때 농협이 고구마를 전량수매하겠다고 해놓고는 이행하지 않아 생산 농가의 고구마가 썩거나 헐값으로 출하하는 등 막심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에 농민들이 피해 보상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⑤ 민의원에서 통과된 법안을 심의는 참의원 의원 (○) - 내각 책임제 개헌에 따라 장면 내각 때의 국회는 참의원, 민의원으로 구성되는 양원제로 운영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4

 

풀이에 대한 접근) 사사오입을 통해 밑줄 그은 '개헌'이 사사오입 개헌(제2차 개헌, 1954)이다. 

 

① 여수 · 순천 10 · 19 사건이 일어났다. (×) - 제주 4 ·3 사건 진압을 거부하며 여수 주둔 군대가 반란을 일으킨 여수 · 순천 10 · 19 사건은 1948년에 일어났습니다. 

② 진보당의 당수였던 조봉암이 처형되었다. (○) - 평화 통일론을 내세우던 진보당의 조봉암이 처형된 것은 1959년입니다.   

③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 1948년 제헌헌법, 정부 수립 이후입니다.  

④ 국회 프락치 사건으로 일부 국회의원이 체포되었다. (×) - 1949년 남조선노동당의 프락치 활동을 했다는 혐의로 현역 국회의원 10여 명이 검거되고 기소된 사건입니다. 

⑤ 여운형 등의 주도로 좌우 합작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인 1946년에 일어났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5

 

풀이에 대한 접근) 긴급조치 제4호에서 유신 헌법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장기 독재를 위해 대통령에게 막강한 권한을 부여하는 유신 헌법(1972~1980)을 제정하였다. 특히 긴급조치권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었다. 

 

① 김주열이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 - 이승만 정부에 대항한 4.19 혁명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② 부천 경찰서 성 고문 사건이 발생하였다. (×) - 1986년 노동현장에 위장취업한 여대생 권인숙이 부천경찰서에 연행되어 성적 고문을 당한 사건으로  전두환 정부 시기에 발생하였습니다.

③ 개헌 청원 백만인 서명 운동이 전개되었다. (○) - 유신 헌법 철폐를 위해 함석헌, 장준하 등 민주 인사들이 연합하여 개헌 청원 백만인 서명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④ 국민 보도 연맹원에 대한 학살이 자행되었다. (×) - 6.25 전쟁 중에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학살로 민간인들이 보도연맹이라는 단체에 소속되어 있었다는 이유로 이승만 정부에 죽임을 당한 끔찍한 대량 학살입니다. 

⑤ 민주화 시위 도중 대학생 강경대가 희생되었다. (×) - 노태우 정부 시기에 발생한 1991년 5월 투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6

 

풀이에 대한 접근) 경부 고속도로 개통에서 박정희 정부다. 

 

①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 - 박정희 정부 때 중화학 공업 중심의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습니다. 

②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 - 노무현 정부입니다.  

③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를 실시하였다. (×) - 김영삼 정부입니다.

④ 국제 통화 기금(IMF)의 구제 금융 지원금을 조기 상환하였다. (×) - 김대중 정부입니다.

⑤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최저 임금법을 제정하였다. (×) - 전두환 정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7-48

 

69-47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서당에서 통일 신라의 9서당이다. 통일 신라는 중앙군으로 신라, 고구려, 백제, 보덕, 말갈인을 포함한 9서당을 편성하였다.

(나) 응양군에서 고려의 2군이다. 고려의 중앙군인 2군은 국왕의 친위 부대로, 응양군, 용호군으로 구성되었다. 

(다) 무위영, 장어영 등에서 조선 고종의 2영이다. 개항 이후 기존의 5군영을 무위영, 장어영의 2영으로 개편하였다.

(라) 금위영에서 조선 숙종 때의 5군영이다. 수도(왕실)를 방어하는 금위영을 설치하여 5군영 체제가 완비되었다.

 

② (가) - (나) - (라) - (다) (○) - (가) (통일 신라) - (나) (고려) - (라) (조선 숙종) - (다) (조선 고종)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8

 

풀이에 대한 접근) 9서당을 정비한 '왕'은 통일 신라 신문왕이다. 

 

①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였다. (○) - 신문왕은 장인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여 진골 세력을 숙청하였습니다.

② 병부와 상대등을 설치하였다. (×) - 법흥왕입니다.

③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 - 조선 효종입니다.

④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 (×) - 고려 태조 왕건입니다.

⑤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의 땅을 수복하였다. (×) - 고려 공민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49

 

풀이에 대한 접근) 전남도청 본관, 시민군이 계엄군에 항쟁했다는 것에서 1980년 5 · 18 민주화 운동이다.

 

① 3 · 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 -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박정희 정부 시기입니다.

② 시위 도중 대학생 이한열이 희생되었다. (×) - 1987년 6월 민주 항쟁입니다. 

③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외쳤다. (×) - 1987년 6월 민주 항쟁입니다.

④ 허정 과도 정부가 출범하는 계기가 되었다. (×) - 1960년 4 · 19 혁명입니다.

⑤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9-50

 

풀이에 대한 접근) 문민정부에서 김영삼 정부이다. 

 

①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반대하는 6 · 3 시위가 일어났다. (×) - 박정희 정부입니다.  

② 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과 수교하였다. (×) - 노태우 정부입니다.

③ 통일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남북 조절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 - 박정희 정부입니다.

④ 경제적 취약 계층을 위한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을 시행하였다. (×) - 김대중 정부입니다. 

⑤ 역사 바로 세우기를 내세우며 옛 조선 총독부 건물을 철거하였다. (○) - 김영삼 정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