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by joocabin 2024. 6. 26.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70-21

 

풀이에 대한 접근) 홍계남, 고경명, 조헌에서 (가)의 전쟁은 임진왜란(1592~1598)이다.  

 

①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이 설치되었다. (○) - 임진왜란 중인 1593년에 유성룡의 건의에 따라 포수(조총), 살수(창·검), 사수(활)의 삼수병으로 구성된 훈련도감이 설치되었습니다.

② 왕이 도성을 떠나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다. (×) -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인 병자호란 때 인조가 도성을 떠나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습니다.

③ 송시열, 이완 등을 중심으로 북벌이 추진되었다. (×) -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인 효종 때입니다.

④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비변사가 신설되었다. (×) - 임진왜란 발생 이전인 중종 때입니다.

⑤ 제한된 범위의 무역을 허용한 계해약조가 체결되었다. (×) - 임진왜란 발생 이전인 세종 때 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등 제한된 범위의 무역을 허용한 계해약조가 체결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2

 

풀이에 대한 접근) 2018년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이라는 이름으로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① (가) - 오층 목조탑 내부에 부처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가 있다. () - 보은 법주사에는 오층 목조탑 내부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가 있습니다. 

② (나) - 배흘림기둥에 주심포 양식으로 축조된 무량수전이 있다. (○) - 영주 부석사입니다. 

③ (다) -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인 극락전이 있다. (○) - 안동 봉정사입니다

④ (라) -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이 있다. (○) - 합천 해인사입니다. 팔만대장경판은 몽골의 침입을 부처님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염원에서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장경판입니다.

⑤ (마)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된 삼층 석탑이 있다. (×) - 경주 불국사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된 삼층 석탑(석가탑)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3

 

풀이에 대한 접근) 이원익의 건의로 경기도에서 시행되는 수취제도, 지방의 특산물을 징수하면서 나타난 방납의 폐단을 막아 백성들의 부담을 줄어주기 위한 것, 공물을 현물 대신 토지의 결 수에 따라 쌀로 납부하는 대동법의 설명이다. 

 

ㄱ. 선혜청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 - 대동법은 대동미, 대동포 등의 출납을 관장하는 관청인 선혜청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ㄴ.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지주에게 결작을 부과하였다. (×) - 균역법의 시행으로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지주에게 결작을 부과하였습니다. 

ㄷ.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 - 대동법은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어용 상인인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공인의 활동은 상품 화폐 경제 발달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ㄹ. 어장세, 선박세 등이 국가 재정으로 귀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균역법입니다. 

 

② ㄱ, ㄷ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4


풀이에 대한 접근) 규장각에 검서관을 두어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서이수를 등용하려는 내 결심을 한 왕은  '정조'이다. 

 

① 왕권 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가 시행되었다. (×) - 태조와 세조 재위 시기에는 왕권 강화를 위해 6조의 판서들이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제도인 6조 직계제가 시행되었습니다.

② 거중기 등을 활용하여 수원 화성이 축조되었다. (○) - 정조 재위 시기에는 정약용이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설계한 거중기 등을 활용하여 수원 화성이 축조되었습니다.

③ 청과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 정계비가 건립되었다. (×) - 숙종 재위 시기입니다.  

④ 통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대전회통이 편찬되었다. (×) - 고종 재위 시기입니다.

⑤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기 위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다. (×) - 철종 재위 시기에는 임술 농민 봉기가 발생하자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기 위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5


풀이에 대한 접근) 만상과 송상이 수많은 가죽을 마음대로 밀무역을 한다는 사실이 나타난 시기는 조선 후기이다.

 

① 채굴 노동자를 고용하는 덕대 (○) - 조선 후기에는 상인 물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광산을 운영하는 덕대가 채굴 노동자를 고용하여 광물을 채굴하였습니다. 

② 벽란도에서 교역하는 송의 상인 (×) - 고려 시대에는 수도인 개경과 가까운 예성강 하구의 무역항인 벽란도에서 송, 여진, 거란 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상인들과도 교역하였습니다.

③ 상평통보로 물건을 거래하는 보부상 (○) - 조선 후기에는 숙종 때 법화로 발행된 상평통보로 물건을 거래하였습니다. 

④ 포구에서 물품의 매매를 중개하는 여각 (○) - 조선 후기에는 배가 드나드는 포구에서 객주, 여각 등이 물품 매매를 중개하고, 보관·운송·숙박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⑤ 담배, 인삼 등 상품 작물을 재배하는 농민 (○) - 조선 후기에는 상품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담배, 인삼, 면화 등의 상품 작물을 재배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6

 

풀이에 대한 접근) 「열하일기」에서 상공업 진흥과 청의 문물 수용을 주장한 (가)의 인물은 박지원이다. 

 

①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 -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에서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습니다.

② 청으로부터 시헌력을 도입하자고 건의하였다. (×) - 김육은 청으로부터 시헌력을 도입하자고 효종에게 건의하였습니다.

③ 우서에서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을 주장하였다. (×) - 유수원입니다.

④ 양반전을 지어 양반의 허례와 무능을 풍자하였다. (○) - 박지원이 지은 한문 소설입니다. 

⑤ 10리마다 눈금을 표시한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다. (×) - 김정호는 산맥, 하천, 도로망 등을 정밀하게 표시하고, 거리를 알 수 있도록 10리마다 눈금을 표시한 대동여지도를 완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7

 

풀이에 대한 접근) 조선 후기 대표적인 풍속 화가, 단원, 스승 강세황에서 (가)의 인물은 김홍도임을 알 수 있다. 김홍도는 도화서의 화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말년에는 서민들의 삶을 표현한 풍속화를 주로 그렸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씨름', '서당', '무동' 등이 있다.

 

(○) - 씨름은 김홍도가 그린 풍속화로, 구경꾼을 둥글게 배치하고, 서로 맞붙여 힘을 겨루는 두 사람의 씨름꾼을 표현하였습니다. 

(×) - 금강전도는 정선이 그린 진경 산수화로, 금강산의 모습을 왼쪽에는 흙산을 부드럽게, 오른쪽에는 뾰족한 바위산을 힘차게 내려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 - 파적도는 김득신이 그린 풍속화로, 병아리를 물고 도망치는 고양이, 혼비백산한 병아리들, 병아리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하는 주인 부부의 모습 등을 실감나게 표현하였습니다. 

(×) - 월하정인은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로, 달이 떠 있는 한밤중에 어느 길모퉁이의 담장 옆에서 젊은 남녀가 은밀히 만나는 모습을 표현하였습니다.

(×) -  영통동구도는 강세황이 그린 진경 산수화로, 송도(개성) 부근의 오관산에 소재한 명소인 영통동 입구에 큰 바위들이 들어선 계곡을 그렸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8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정족산성 수성장 양헌수의 키워드에서 병인양요(1866)임을 알 수 있다.

(나) 미국 배가 광성진을 습격하여 함락, 어재연이 힘껏 싸우다가 목숨을 바쳤다는 사건에서 신미양요(1871)라 할 수 있다.

 

① 일본 군함 운요호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 - 1875년에 일본 군함 운요호가 초지진과 영종도를 공격하며 조선에 문호 개방을 요구하였습니다. 

②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의 도굴을 시도하였다. (○) - (가)와 (나) 사이 시기인 1868년에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묘의 도굴을 시도하였습니다. (오페르트 도굴 사건)

③ 마젠창과 묄렌도르프가 고문으로 파견되었다. (×) - 1882년에 발생한 임오군란을 진압한 청은 마젠창과 독일인 묄렌도르프를 조선에 정치·외교 고문으로 파견하여 내정과 외교에 간섭하였습니다.

④ 영국군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 - 1885~1887년에 영국군이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습니다. 

⑤ 황사영이 외국 군대의 출병을 요청하는 백서를 작성하였다. (×) - 1801년에 신유박해가 발생한 뒤의 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29

 

풀이에 대한 접근) (가)의 체결로 미국 공사가 부임하자 그에 대한 답례로 보빙사가 파견된 (가)의 조약은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다.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는 조약을 체결한 양국 중 한 나라가 제3국의 압박을 받을 경우 서로 도와줄 것을 규정하는 거중조정 조항이 있었다.

 

①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다.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은 조선이 1882년에 서양 국가와 처음 체결한 조약으로, 한 나라가 어떤 외국에 부여하고 있는 가장 유리한 대우를 상대국에도 부여하는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습니다.

② 통감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 - 을사늑약은 1905년에 일본이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하여 강제로 체결한 조약으로, 통감부가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③ 천주교 포교 허용의 근거가 되었다. (×) - 조·프 수호 통상 조약은 1886년에 체결한 조약으로, 천주교 포교 허용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④ 재정 고문을 두도록 하는 조항을 담고 있다. (×) - 제1차 한·일 협약은 1904년에 일본이 대한 제국에 일본인 재정 고문과 외국인 외교 고문을 고용하도록 강제한 협약입니다. 제1차 한·일 협약에 따라 일본인 메가타가 재정 고문, 미국인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부임하였습니다.

⑤ 부산, 원산, 인천이 개항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강화도 조약은 1876년에 일본과 체결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조약으로, 부산·원산·인천이 개항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0-30

 

풀이에 대한 접근)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에서 일부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가)의 사건은 갑신정변이다. 갑신정변은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되었으며, 김옥균, 박영효 등의 주요 인물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① 전개 과정에서 집강소가 설치되었다. (×) - 동학 농민 운동입니다.

② 수신사가 파견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 - 갑신정변은 수신사 파견 이후인 1884년에 발생하였습니다. 수신사는 개항 이후인 1876년, 1880년, 1881년, 1882년 일본에 파견한 외교 사절단입니다. 

③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갑신정변은 조선이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라는 내용 등을 명시한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④ 사태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 - 임술 농민 봉기입니다.

⑤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 (×) - 임오군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