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풀이에 대한 접근) [기묘사화, 1519] 1519년 조광고가 대사헌에 오른 후 현량과를 실시하여 사림을 많이 등용하고 이들은 반정 공신들의 비리를 척결하고자 공신의 위훈을 삭제하였는데, 이것이 기묘사화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기묘사화 때, 훈구파는 조광조가 스스로 왕이 되려 한다고 모함하였고, 조광조는 능주에 유배되었다가 사약을 받고 죽었다.
② (나)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키워드) 중종, 간쟁, 논박 등에서 사간원이다.
①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였다. (×) - 승정원입니다.
② 수도의 행정과 치안을 담당하였다. (×) - 한성부입니다.
③ 사헌부, 홍문관과 함께 3사로 불렸다. (○) - 사간원입니다.
④ 실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다. (×) - 춘추관입니다.
⑤ 반역죄, 강상죄 등을 범한 중죄인을 다스렸다. (×) - 의금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곽재우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고향인 경남 의령에서 의병을 조직하고 붉은 비단으로 된 갑옷을 입어서 홍의장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① 유정이 회답 겸 쇄환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 - 임진왜란(1592)이 끝난 뒤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끊었습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 막부는 다시 외교 관계를 맺자고 요청해왔습니다. 이에 조선은 여러 차례에 걸쳐 외교 사절단(회답 겸 쇄환사)을 파견하여 전쟁 중에 끌려간 조선인들을 데리고 돌아왔으며, 친선 관계를 두텁게 하였습니다.
② 나세, 심덕부 등이 진포에서 왜구를 격퇴하였다. (×) - 고려의 우왕 시기, 최무선은 진포(금강하구)에서 왜선을 전멸시켰습니다. (진포대첩) 나세와 심덕부는 진포대첩에서 최무선과 같이 왜구를 격퇴하였습니다.
③ 신숙주가 일본에 다녀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 - 조선 성종 시기 신숙주는 통신사로 파견되어 일본에 가서 울의 학문과 문화를 전달하였고 일본의 인명, 지명 등을 한자로 기록하였습니다. 후에 이 기록을 바탕으로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습니다.
④ 조선 정부의 통제에 반발하여 삼포왜란이 일어났다. (×) - 조선 중종 시기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⑤ 외침에 대비하기 위해 임시 기구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 - 조선 중중 시기 비변사는 16세기 초 삼포왜란을 계기로 왜구와 여진에 대비하기 위해 병조 예하의 임시기구로 설치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화성, 장용영 등에서 정조이다.
① 금속 화폐인 건원중보가 주조되었다. (×) - 고려 성종, 최초의 독자적 화폐인 건원중보를 주조하였으나 유통되지 못하였습니다.
② 시장을 감독하는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 - 신라 지증왕 시기입니다.
③ 울산항, 당항성이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 - 신라 진흥왕 때에 남양만에 당항성을 쌓아 바다를 통해 직접 중국의 남북조와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습니다.
④ 군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균역법이 제정되었다. (×) - 조선 후기 영조 시기입니다.
⑤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 (○) - 정조는 정약용으로 하여금 화성을 세우도록 하였으며, 신해통공을 실시하여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서원의 시초는 주세붕이 안향의 구가(舊家)에 세운 백운동서원(경북 영주시)이다. 명종이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이라는 편액과 도서등을 최초로 하사하였다.
① 전국의 모든 군현에 하나씩 설치되었다. (×) - 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인 향교입니다.
② 선현의 제사와 유학 교육을 담당하였다. (○) - 서원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전문 강좌인 7재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 - 고려시대 국립교육기관인 국자감입니다.
④ 중앙에서 교수나 훈도를 교관으로 파견하였다. (×) - 향교는 지방에 설치된 고려와 조선시대의 중등 교육기관입니다.
⑤ 소과에 합격한 생원, 진사에게 입학 자격이 부여되었다. (×) - 조선은 고려의 교육 제도를 이어받아 서울에 국립 교육 기관인 성균관을 두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① (가) - 의산문답에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다 (×) - 홍대용입니다.
② (나) - 목민심서에서 지방 행정의 개혁안을 제시하다 (×) - 정약용입니다.
③ (다) - 열하일기에서 수레와 선박의 필요성을 강조하다 (○) - 박지원입니다.
④ (라) - 성호사설에서 사회 폐단을 여섯 가지 좀으로 규정하다 (×) - 이익입니다.
⑤ (마) - 북학의에서 절약보다 적절한 소비를 권장하다 (×) - 박제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병자호란 이후이므로 청나라이다.
①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였다. (×) - 공민왕 시기입니다.
② 별무반을 편성하여 침입에 대비하였다. (×) - 고려 숙정 시기, 윤관은 기병이 중심인 신기군(기병)을 주축으로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으로 구성된 별무반을 편성하여 침입에 대비하였습니다.
③ 정기적으로 연행사를 보내 교류하였다. (○) - 연행사는 조선 후기 청나라에 보낸 조선 사신으로, 정기적으로 파견하여 청과 교류하였습니다.
④ 한성에 동평관을 설치하여 무역을 허용하였다. (×) - 동평관은 조선 시대의 일본 사신이 머물던 숙소입니다. 임진왜란 이후에 폐지되었습니다.
⑤ 통신사를 파견하여 조선의 문물을 전파하였다. (×) -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하여 조선의 문물을 전파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홍경래의 난(1811~1812)] 홍경래의 난은 세도 정치기의 수탈과 지역 차별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홍경래의 난은 19세기 최초의 반 세도정치 민란으로 농민층의 정치적 자각에 영향을 주었다.
① 청의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 - 임오군란입니다.
② 척왜양창의를 기치로 내걸었다. (×) - 동학농민운동입니다. 이 때 '척왜양창의' (일본과 서양세력을 배척하여 의병을 일으킨다)를 주장하며 탐관오리를 비판하였습니다.
③ 선혜청과 일본 공사관을 공격하였다. (×) - 임오군란입니다.
④ 사건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 - 임술농민봉기입니다.
⑤ 세도 정치기의 수탈과 지역 차별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 - 홍경래의 난은 세도 정치기의 수탈과 지역 차별에 반발하여 일어났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을미사변(1895)] 삼국간섭 이후 명성황후를 앞세워 친러, 친미 정책을 추진하였다. 일본 공사 미우라는 폭도와 함께 경복궁에 난입하여 옥호루에서 명성황후를 살해하고 시신을 불태웠다.(을미사변) 이후 일본은 김홍집 등의 친일 세력을 중심으로 내각을 성립시키고, 을미개혁(1895)을 추진하였다. 태양력을 시행하였고, '건양' 연호를 사용하였다. 을미개혁 당시 단발령을 시행하였는데, 을미사변으로 인한 반일 감정이 극한에 달한 상황에서, 친일 내각에 의해 추진된 단발령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항일 의병이 전개되었다. (을미의병)
① 과거제를 폐지하였다. (×) - 1차 갑오개혁입니다.
② 태양력을 시행하였다. (○) - 을미개혁입니다.
③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 - 육영 공원(1886)은 정부가 설립한 최초의 관립 학교입니다.
④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 - 1차 갑오개혁입니다.
⑤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 - 통리기무아문(1880)은 조선 최초의 근대적 기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병인양요(1866)] 병인양요는 천주교 탄압(병인박해)을 빌미로 하여 일어났다. 프랑스는 극동 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이 이끄는 7척의 군함을 파견하여, 강화읍을 점령하고 서울로 진격하려 하였는데, 흥선 대원군의 굳은 항전 의지와 양헌수 부대의 분전으로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을 격퇴시켰다. 이때 프랑스 군인들은 외규장각의 문화재를 비롯하여 서적과 병기들을 약탈하여 갔다.
① 종로와 전국 각지에 척화비가 세워졌다. (×) -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입니다.
②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 오페르트 도굴 사건(1868)은 오페르트가 충남 아산에 상륙하여, 충남 덕산에 있는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입니다.
③ 위안스카이가 이끄는 군대가 조선에 상륙하였다. (×) - 임오군란이 원인입니다.
④ 병인박해로 천주교 선교사와 신자들이 처형되었다. (○) - 병인박해를 빌미로 병인양요가 일어났습니다.
⑤ 김홍집이 가지고 온 조선책략이 국내에 유포되었다. (×) - 2차 수신사 김홍집의 소개로 전래된 조선책략은 국내의 지식층에 유포되어 미국과 외교 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일어났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3.01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2.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2.2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0) | 2024.02.2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5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