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by joocabin 2024. 3. 17.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60-1

 

풀이에 대한 접근) 청동기 시대의 유물들은 구릉에 자리 잡은 집터를 비롯하여 고인돌,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등 청동기 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다. 고인돌은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며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만들었다.

 

① 소를 이용하여 깊이갈이를 하였다. (×) - 신라시대 지증왕 때 우경이 시작되었습니다.

②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에서 살았다. (×) - 구석기시대입니다.

③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 (○)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④ 빗살무늬 토기를 제작하여 식량을 저장하였다. (×) - 신석기시대입니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 - 구석기시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2

 

풀이에 대한 키워드) 부여에서는 왕의 죽으면 껴묻거리와 함께 많은 사람들을 함께 묻는 순장 제도가 있었고,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으며, 우제점법, 형사취수제 등의 문화가 존재하였다.

 

① 신성 구역인 소도를 두었다. (×) - 삼한에는 정치적 지배자인 신지, 견지, 읍차, 부레 등이 있었고,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습니다. 천군은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는데, 천군이 주관하는 소도지역은 신성한 지역으로, 죄지은 사람이 도망쳐 와도 군장이 함부로 쫓아올 수 없었습니다. 

②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 동예입니다.

③ 여러 가(加)들이 각각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 부여에서는 왕 아래에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라는 군장 세력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기 대사,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고, 이들 가는 거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사출도를 다스리고 있었습니다. 

④ 정사암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 - 벡제입니다.

⑤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만들었다. (×) - 고조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3

 

풀이에 대한 접근) 낙동강 하류의 변한 지역에서는 김수로에 의하여 금관가야가 건국되었다. 김해 지역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왕국이 성립되었는데 이를 전기 가야연맹이라고 부른다. 가야 연맹에서는 풍부한 철의 생산과 해상 교통을 활용하여, 낙랑과 왜의 규슈 지방을 연결하는 중계 무역이 발달하였으며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① 법흥왕 때 신라에 복속되었다. (○) - 신라의 법흥왕은 김해의 금관가야를 정복하였고, 신라의 진흥왕은 대가야를 병합하였습니다. 

② 유학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두었다. (×) - 발해입니다.

③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 - 6세기 초 백제의 중흥을 위해 노력한 무령왕입니다.

④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다. (×) - 신라입니다.

⑤ 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다. (×) - 동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4

 

풀이에 대한 접근) 백제 부흥 운동(660~664) : 복신과 도침(주류성), 흑치상지(임존성) 등은 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군사를 일으키면서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 

 

①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승리하였다. (×) - 수 양제의 침입 때에 을지문덕이 적을 유인한 뒤 살수에서 크게 격파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를 살수 대첩이라 합니다. (612)

② 안승이 보덕국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 - 고구려 부흥운동(670) : 검모잠은 고구려가 망하자(668) 유민을 모아 안승을 왕으로 옹립하여 한성을 근거지로 삼아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신라는 당나라를 몰아내기 위해 고심중이었으므로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하였습니다. 이후 안승은 신라에 투항하고 문무왕에 의해 보덕국왕에 봉해집니다. 

③ 관구검의 공격으로 환도성이 함락되었다. (×) - 3세기 동천왕 시기입니다.

④ 의자왕이 윤충을 보내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 - 대야성 전투(642)는 백제 부흥운동 이전 시기에 발생되었습니다.

⑤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 - 백제 멸망(660) 이전에 발생한 황산벌 전투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5

 

풀이에 대한 접근) 왼쪽에 나오는 56년, 60년, 63년에서 60년 이상 재위한 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본기, 백제 도성 함락 등에서 장수왕이다.

 

① 도읍을 국내성으로 평양으로 옮겼다. (○) - 장수왕은 평양으로 천도(427)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남하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② 낙랑군을 몰아내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 - 고구려 미천왕입니다.

③ 을파소의 건의로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 고국천왕입니다.

④ 영락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 광개토 대왕입니다.

⑤ 전진의 순도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 - 고구려 소수림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6

 

풀이에 대한 접근) 해동성국, 정효공주묘 등에서 발해이다.

 

① 중정대를 두어 관리를 감찰하였다. (○) - 발해는 중정대를 두어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으며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설치하였습니다.

② 군사 조직으로 9서당 10정을 편성하였다. (×) - 통일 신라입니다. 

③ 내신 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정비하였다. (×) - 백제입니다.

④ 상수리 제도를 시행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였다. (×) - 통일 신라입니다.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 백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7

 

풀이에 대한 접근) 의상은 부석사를 비롯한 여러 사원을 건립하여 불교문화의 폭을 확대하였다. 

 

① 무애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 - 원효입니다.

② 화랑도의 규범으로 세속 5계를 제시하였다. (×) - 원광입니다.

③ 구법 순례기인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였다. (×) - 혜초입니다.

④ 승려들의 전기를 담은 해동고승전을 집필하였다. (×) - 각훈입니다.

⑤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하였다. (○) - 의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8

 

풀이에 대한 접근) 김흠돌의 난 진압, 문무왕의 아들 9주 설치 등에서 신문왕이다. 

 

① 거칠부에게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 (×) - 진흥왕입니다.

②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 지증왕입니다.

③ 건원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 법흥왕입니다.

④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 - 신문왕입니다.

⑤ 관리 선발을 위해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 - 원성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9

 

풀이에 대한 접근) 태봉, 철원 등에서 궁예이다.

 

① 금마저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 - 백제 무왕입니다.

② 후당과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 - 견훤의 후백제는 오월, 후당 등과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습니다.

③ 일리천 전투에서 신검의 군대를 격퇴하였다. (×) - 왕건입니다.

④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 고려 충목왕 시기입니다.

⑤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 궁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0-10

 

풀이에 대한 접근)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이어받은 것에서 석굴암 본존불과 가장 비슷한 것을 고르는 방식으로 풀 수도 있다. 

 

(×)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6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고구려 불상입니다.

(○) - 춘궁리철조석가여래좌상으로 고려시대 초기의 불상으로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이어받았습니다. 

(×) -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신라의 불상입니다. 

(×) - 금동관음보살좌상으로 고려후기의 불상입니다.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으로 일본 고류사에 있는 불상과 모습이 매우 비슷하여 일본에 전파된 우리 고대 문화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7세기 전반의 신라 불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