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풀이에 대한 접근) 8천년 전, 빗살무늬 토기 등에서 신석기시대이다.
①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하였다. (×) - 구석기시대입니다.
② 고인돌, 돌널무덤 등을 축조하였다. (×) - 청동기 시대입니다.
③ 명도전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역하였다. (×) - 철기 시대입니다.
④ 농경과 목축을 통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 - 신석기시대입니다.
⑤ 비파형 동검과 거친무늬 거울 등을 제작하였다. (×) - 청동기 시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키워드) 신지에서 삼한에 대한 설명이다.
①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 삼한에서 천군이 주관하는 소도지역은 신성한 지역으로, 죄지은 사람이 도망쳐 와도 군장이 함부로 쫓아올 수 없었습니다.
②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았다. (×) - 고조선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혼인 풍습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 옥저입니다.
④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 - 부여입니다.
⑤ 특산물로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였다. (×) - 동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웅진성, 좌평 등에서 백제이다.
①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을 두었다. (×) - 골품 제도는 신라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각 족장 세력을 통합, 편제한 엄격한 신분 제도입니다.
② 제가 회의에서 국가 중대사를 결정하였다. (×) - 고구려의 정치 제도에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습니다. 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 회의에 의해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습니다.
③ 지방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이 있었다. (×) - 고구려에서 지방의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을 두었습니다.
④ 위화부, 영객부 등의 중앙 관서를 설치하였다. (×) - 위화부는 신라의 중앙 정치 조직입니다.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 백제는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 등에서 광개토대왕이다.
①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 광개토대왕은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② 태학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 - 고구려의 소수림왕입니다.
③ 낙랑군을 축출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 고구려 미천왕에 의해 낙랑군과 대방군이 멸망하였습니다.
④ 을파소를 등용하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 - 고국천왕은 춘대추납의 진대법을 을파소의 건의에 따라 실시하였습니다.
⑤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 - 연개소문 때, 당의 침입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축조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대승기신론소, 무애가 등에서 원효이다.
① 일심 사상과 화쟁 사상을 주장하였다. (○) - 원효는 여러 불교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기 위해 일심 사성과 화쟁 사상을 주장하였습니다.
② 구법 순례기인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 - 혜초입니다.
③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을 건의하였다. (×) - 진흥왕 때 경주에 황룡사를 건립하였고, 선덕여왕 때 승려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였습니다.
④ 왕명으로 수에 군사를 청하는 걸사표를 지었다. (×) - 세속오계를 만든 원광은 진평왕의 명을 받고 수나라의 고구려 출병을 요청하는 걸사표를 작성하였습니다.
⑤ 승려들의 전기를 정리한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 - 각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개로왕이 구원을 요청하고 있다. 고구려의 남진정책과 관련이 있다.
①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승리하였다. (×) - 7세기 고구려 을지문덕은 수나라 군대가 후퇴하는 것을 끈질기게 추격하였으며 살수에 도착해서 크게 격파하였습니다. (살수대첩)
② 동성왕이 나제 동맹을 강화하였다. (×) - 백제 동성왕 때에 신라의 왕녀를 왕비로 삼아 나제 동맹을 강화하였습니다.
③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 신라의 배신행위에 분격한 성왕은 친히 군사를 이끌고 신라를 치다가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6세기)
④ 계백의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패배하였다. (×) - 7세기 의자왕이 보낸 계백의 결사대와 김유신이 이끈 신라군이 대결했던 황산벌 전투에서 신라군이 승리하였습니다.
⑤ 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하고 남진을 추진하였다. (○) - 장수왕은 평양으로 천도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남진을 추진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연정토는 연개소문의 아우이다. 연개소문 이후 고구려가 분열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아직 고구려가 멸망 전이다.
(나) 나.당 전쟁(670~676) :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당은 한반도에 계림 도독부, 웅진 도독부, 안동도호부를 설치하여 한반도 전체를 장악하려는 야욕을 나타냈다. 신라는 이근행이 이끄는 당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의 수군을 섬멸하여 당의 세력을 완전히 몰아냈으며, 평양에 있던 안동 도호부도 요동성으로 밀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결국 신라는 대동강~원산만에 이르는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① 윤충이 대야성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 - 백제 의자왕 시기입니다.
② 문무왕이 안승을 보덕왕으로 책봉하였다. (○) - 고구려 부흥운동(670) : 검모잠은 고구려가 망하자 유민을 모아 안승을 왕으로 옹립하여 한성을 근거지로 삼아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켰습니다. 이후 안승은 신라에 투항하고 문무왕에 의해 보덕국왕에 봉해집니다.
③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 - 나당동맹에 대한 설명입니다.
④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 (×) - 고구려 멸망 이전에 연개소문은 631년에 쿠데타를 일으켜 영류왕을 제거한 후 보장왕을 세웠습니다.
⑤ 부여풍이 왜군과 함께 백강에서 당군에 맞서 싸웠다. (×) - 백제 부흥운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김헌창의 난에서 신라 하대 시기의 일을 찾아본다.
①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 진흥왕입니다.
②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 - 지증왕입니다.
③ 관료전이 지급되고 녹읍이 폐지되었다. (×) - 신문왕입니다.
④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봉기하였다. (○) - 진성여왕시기입니다.
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 - 법흥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삼봉집에서 정도전임을 알 수 있다.
① 빈민 구제를 위해 흑창을 설치하였다. (○) - 왕건은 후삼국 시대의 전쟁과정에서 몰락한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춘대추납의 흑창을 설치하였습니다.
② 12목에 지방관을 처음으로 파견하였다. (×) - 고려 성종은 최승로의 건의에 따라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습니다.
③ 외침에 대비하여 개경에 나성을 축조하였다. (×) - 현종 시기입니다.
④ 관학 진흥을 목적으로 양현고를 운영하였다. (×) - 고려의 예종 시기입니다.
⑤ 쌍기의 건의를 수용하여 과거제를 시행하였다. (×) - 고려 광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왕과 대문예의 갈등이 나타나 있다. 이후의 결과로 무왕이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① 장문휴를 보내 등주를 공격하였다. (○) - 발해 무왕은 동생 대문예로 하여금 흑수 말갈에 대한 원정을 감행하여 이를 진압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의견차를 보이던 대문예가 당에 투항하자 무왕은 장문휴의 수군으로 당의 산둥반도의 국제 무역항 등주를 공격하여 자사 위준을 죽였습니다.
②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 (×) - 통일 신라 신문왕입니다.
③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 백제 성왕입니다.
④ 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 - 신라 문무왕입니다.
⑤ 고구려 유민을 모아 동모산에서 나라를 세웠다. (×) - 고구려 옛 장군 출신인 대조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3.24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3.2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3.2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3.20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0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