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표현 코드 정리 – 컴활 1급 필수 이론
1. BCD 코드 (Binary Coded Decimal)
BCD는 이진화 십진 코드로, 10진수 숫자 하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구성: 6비트 (존 2비트 + 디지트 4비트)
표현 가능한 문자 수: 2의 6승 = 64가지
특징:
- 대소문자 구별 불가능
- "BCD는 똥오줌 못 가린다"로 기억
2. ASCII 코드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표준 정보 교환 코드로,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됨.
구성: 7비트 (존 3비트 + 디지트 4비트)
표현 가능한 문자 수: 2의 7승 = 128가지
특징:
- 통신에 적합
- 전자우편, 데이터 통신 등에서 사용
- 대소문자 구별 가능
확장 ASCII:
- 8비트
- 256가지 문자 표현 가능 (2의 8승)
3. EBCDIC 코드 (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IBM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문자 코드
구성: 8비트 (존 4비트 + 디지트 4비트)
표현 가능한 문자 수: 2의 8승 = 256가지
특징: BCD를 확장한 코드
4. Unicode (유니코드)
전 세계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국제 표준 문자 코드
구성: 2바이트 = 16비트
표현 가능한 문자 수: 2의 16승 = 65,536가지
특징:
- 한글 완성형, 조합형, 옛글자까지 모두 표현 가능
- "유니"는 두 글자 → 2바이트로 기억
5. 해밍 코드 (Hamming Code)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한 코드
특징:
- 오류 검출 + 교정 가능
- 최대 2비트 오류 검출
- 1비트 오류 교정 가능
6. 비트 수 비교 요약
BCD: 6비트 (64문자)
ASCII: 7비트 (128문자)
확장 ASCII: 8비트 (256문자)
EBCDIC: 8비트 (256문자)
Unicode: 16비트 (65,536문자)
7. 시험에 자주 나오는 포인트 요약
- BCD: 대소문자 구별 못 함
- ASCII: 7비트, 통신용
- 확장 ASCII: 8비트, 256자
- EBCDIC: IBM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 Unicode: 국제 표준, 2바이트, 16비트
- 해밍 코드: 검출 + 교정 (2비트 검출, 1비트 교정)
8. 대표 기출 유형
Q. 다음 중 영문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못하는 코드는?
A. BCD
Q. ASCII 코드는 몇 비트로 구성되어 있나?
A. 7비트
Q. 유니코드는 몇 바이트/몇 비트인가?
A. 2바이트, 16비트
Q. 해밍 코드의 기능은?
A. 오류 검출 + 교정
'컴퓨터활용능력 > 1급 필기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 데이터 표현 방식부터 방화벽, 암호화까지 한 번에 정리! 시험에 자주 나오는 핵심 요점 (3) | 2025.06.27 |
---|---|
USB, 소프트웨어 사용권에 따른 구분, 웹 프로그래밍 언어, IP 버전 6, FTP (1) | 2025.06.26 |
ADO 개체 완벽 정리 – 액세스와 VB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0) | 2025.06.26 |
Access 이벤트 프로시저 완전 정리 – 주요 이벤트와 실행 함수 개념 이해하기 (1) | 2025.06.26 |
Access 매크로 완전 정복 – 기본 개념부터 조건 매크로까지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