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풀이에 대한 접근) 일제의 연합국과의 전쟁, 공출 등에서 민족 말살 통치기에서도 중일 전쟁 이후의 시기이다.
①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실시되었다. (×) - 1910년 경술국치 이전 시기입니다.
② 만주 군벌과 일제 사이에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었다. (×) - 미쓰야 협정(1925)은 일제가 독립군을 탄압하기 위하여 만주의 군벌 장 쭤린과 총독부의 미쓰야 사이에 체결된 협약입니다.
③ 여자 정신 근로령으로 한국인 여성이 강제 동원되었다. (○) - 일제는 1944년 여자 정신 근로령을 내렸는데, 수십만 명의 여성이 군수 공장 등에 강제 동원되어 노역에 시달렸습니다.
④ 지주 문재철의 횡포에 맞서 암태도 소작 쟁의가 전개되었다. (×) -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의 지주 문재철이 고율의 소작료를 징수하자 암태소작인회가 조직되었고, 지주는 목포경찰을 이용하여 이러한 소작인의 움직임을 진압하려 하였습니다. 그러자 농민들은 추수를 거부하고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여하였습니다. (1923~1924)
⑤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회사령이 공포되었다. (×) - 무단 통치기에, 회사를 설립할 때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회사령(1910)을 공포하여 한국인의 기업활동을 억제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① (가) - 단군 숭배 사상을 통해 민족의식을 높이다 (×) - 단군교는 나철, 오기호 등이 단군 신앙을 기반으로 민족 운동의 구심점으로서 창시하였으며 1910년 대종교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② (나) - 의민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다 (×) - 천주교입니다.
③ (다) - 간척 사업을 진행하고 새생활 운동을 펼치다 (○) - 박중빈이 창시한 원불교는 개간 사업, 저축 운동, 새생활 운동(남녀평등, 허례허식의 폐지)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④ (라) - 배제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다 (×) - 개신교입니다.
⑤ (마) -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소년 운동을 추진하다 (×) - 천도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한국 광복군과의 통합, 1938년, 장제스 위원장의 영도에서 중국의 지원을 추정함 등에서 조선의용대이다.
① 자유시 참변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 - 대한독립군단입니다.
②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 - 한국 독립군입니다.
③ 동북 항일 연군으로 개편되어 유격전을 펼쳤다. (×) - 항일유격대 → 동북인민혁명군 → 동북항일연군(김일성 관련 단체)입니다.
④ 김원봉, 윤세주 등이 중국 관내(關內)에서 창설하였다. (○) - 조선의용대는 중일 전쟁 이후, 김원봉이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아 창설하였습니다. 중국 관내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입니다.
⑤ 홍범도 부대와 연합하여 청산리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 -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북간도 지역에서 이상설을 중심으로 서전서숙이 설립되었다. (1906) 이후 서전서숙을 승계한 명동학교가 김약연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1908)
① 권업회가 설립되어 권업신문을 발간하였다. (×) - 연해주입니다.
② 이봉창이 일왕의 행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 일본 도쿄입니다.
③ 박용만의 주도로 대조선 국민군단이 창설되었다. (×) - 하와이입니다.
④ 북로 군정서가 조직되어 독립 전쟁을 전개하였다. (○) - 대종교는 만주 길림에서 무장 투쟁 단체인 중광단을 조직(1911)하였습니다. 중광단은 3.1 운동(1919) 이후에 김좌진을 중심으로 한 북로군정서로 개편되었습니다.
⑤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 · 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 - 일본의 도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군정의 시작] 1945년 광복 이후에 남쪽에는 미군이 북쪽에는 소련군이 진주하여 각각 군정이 시작되었다. 이후 남측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미군정이 종식되었고 북측에서는 1948년 9월 9일 정권이 수립되면서 소련의 군정이 종식되었다. '국.공유재산 및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축적된 재산'을 귀속재산이라 하는데 미군정은 귀속 재산을 관리하기 위해 신한 공사를 설립하였다.
①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다. (×) -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은 1953년 10월(6.25전쟁 이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맺은 조약입니다.
②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 - 박정희 정부 때입니다.
③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 이승만 정부 시기입니다.
④ 신한 공사가 설립되어 귀속 재산을 관리하였다. (○) - '국.공유재산 및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축적된 재산'을 귀속재산이라 하는데 미군정은 귀속 재산을 관리하기 위해 신한 공사를 설립하였습니다.
⑤ 국가 보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보안법 파동이 일어났다. (×) - 이승만 정부 시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남북, 정전 협정, 유엔군 등에서 6.25 전쟁이다.
①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었다. (×) - 6.25전쟁이 발생되기 이전, 국외에서는 미군이 철수하고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국을 제외한 애치슨 선언이 나오는 등 국제 정세도 불리하게 작용하였습니다. (미국의 국무장관인 애치슨이 발표한 것으로,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시켰고 한국 전쟁의 발발 원인 중 하나가 됨)
② 부산이 임시 수도로 정해졌다. (○)
③ 흥남 철수 작전이 전개되었다. (○)
④ 인천 상륙 작전 이후 서울을 수복하였다. (○)
⑤ 국회에서 국민 방위군 사건이 폭로되었다. (○)
②~ ⑤번은 6.25전쟁 중에 일어난 사건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6차 개헌 - 1969. 10, 3선 개헌]
박정희 정부의 정권 연장을 위하여 정부와 여당인 공화당이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하도록 개정한 헌법이다. 대통령 직선제는 유지하였으며 국회의원의 수를 250명으로 확대하였다. 야당과 학생들이 반대 시위를 벌였다.
① 내각 책임제 형태의 정부가 출범하였다. (×) - 4.19 혁명 이후 이승만 정부 하야의 결과로 발생하였습니다.
② 정부에 비판적이던 경향신문이 폐간되었다. (×) - 이승만 정부 시기입니다.
③ 최고 통치 기구인 국가 재건 최고 회의가 구성되었다. (×) - 5.16 군사 정변(1961) 후 박정희 정부 시기에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설치하였습니다.
④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과 간부들이 구속되었다. (×) - 조봉암이 구속된 '진보당 조봉암 사건'은 3대 대통령 선거 이후인 1958년에 발생하였습니다.
⑤ 국회 해산, 헌법의 일부 효력 정지를 담은 10월 유신이 선포되었다. (○) - 7차 개헌(유신 헌법)으로 대통령 선출방식을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선제로 바꾸었으며 헌법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을 대통령에게 부여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광주, 의거, 발포 등에서 5.18 민주화 운동이다.
① 허정 과도 정부가 출범하는 계기가 되었다. (×) - 1960년 4.19 혁명입니다.
② 굴욕적인 한일 국교 정상화에 반대하였다. (×) - 1964년부터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가 시작되었으며 6.3 한일협정 반대 시위가 발생하였습니다.
③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외쳤다. (×) - 1987년 6월 민주 항쟁입니다.
④ 3 · 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시위가 시작되었다. (×) - 1960년 4.19 혁명입니다.
⑤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은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김영삼 정부 시기에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1996)하였다.
① 처음으로 수출액 100억 달러가 달성되었다. (×) - 박정희 정부 때입니다.
② 대통령 긴급 명령으로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 - 김영삼 정부입니다.
③ 개성 공단 건설을 통해 남북 간 경제 교류가 이루어졌다. (×) - 김대중 정부입니다.
④ 한국과 미국 사이에 자유 무역 협정(FTA)이 체결되었다. (×) - 노무현 정부입니다.
⑤ 경제적 취약 계층을 위한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이 시행되었다. (×) - 김대중 정부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현대그룹 회장 정주영이 1998년 방북하여 금강산 관광개발을 합의한 후, 김대중 정부(1998~2003) 시기인 1998년 11월에 금강호가 첫 출항하면서 금강산 해로 관광이 시작되었다. 이후 2003년 2월에는 육로 관광이 시작되었다. 2008년 7월부터 2022년 11월 현재 중단된 상태이다.
①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 박정희 정부입니다.
②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였다. (×) - 노태우 정부 시기입니다.
③ 6 · 15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 - 김대중 정부입니다.
④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 - 노태우 정부 시기입니다.
⑤ 남북 이산가족의 교환 방문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 - 전두환 정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3.28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0) | 2024.03.2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3.25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3.2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