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5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by joocabin 2024. 4. 14.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5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풀이에 대한 접근) (가) 동학은 나라로부터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들을 속이는 종교라 하여 박해를 받았고, 창시자인 최제우는 처형(1864)당했다. 그러나 2대 교주인 최시형의 노력으로 전라도와 충청도까지 퍼지게 되었다.

(나) 전봉준과 동학 농민군은 백산 봉기를 일으켰다. 이후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을 물리치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 동학농민운동의 흐름

삼례집회(1892) → 보은집회(1893) → 고부봉기(1894) → 백산봉기(1894) →황토현, 황룡촌 전투 승리 →전주성 점령 →전주화약 →일본의 경복궁 점령 →남북접 논산 집결 →우금치 전투 패배

 

① 논산으로 남접과 북접이 집결하였다. (×

②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교정청이 설치되었다. (×

③ 일본이 군대를 동원하여 경복궁을 점령하였다. (×)  

④ 고부 농민들이 조병갑의 탐학에 맞서 만석보를 파괴하였다. (○) - (가)와 (나) 사이에는 고부 봉기 시기입니다.  

⑤ 공주 우금치에서 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였다. (×)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2

 

풀이에 대한 키워드) 네덜란드, 한국인 3명 등에서 헤이그 특사 사건(1907)이다.

 

⑤ (마)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3

 

풀이에 대한 접근) 의병, 서울 진군, 허위, 이인영 등에서 정미의병이다. 

 

①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으로 삼았다. (×) - 의열단입니다. 

② 이만손이 주도하여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 - 위정척사운동입니다.

③ 상덕태상회를 통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 - 박상진의 대한광복회입니다.

④ 일본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고자 하였다. (×) - 독립의군부입니다.

⑤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결성되었다. (○) - 정미의병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4

 

풀이에 대한 접근) 러시아 공사관, 환궁 등에서 아관파천이다. 

 

① 영선사가 파견되었다. (×) - 1881~1882년 청에 파견되었습니다.

②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 - 1894년 1차 갑오개혁입니다. 

③ 대한국 국제가 반포되었다. (○) - 아관파천(1896.02) 이후 1년 만에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궁한 고종은 연호를 광무로 고치고, 환구단(원구단)에서(1897) 국호를 대한제국, 황제라 칭하여 자주 국가임을 내외에 선포하였습니다. 이후 광무개혁을 실시한 고종 황제와 집권층은 구본신참의 시정 방향을 제시하고, 대한국 국제를 제정(1899)하여 전제 황권을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④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일어났다. (×) - 신미양요의 배경입니다.

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 - 임오군란 이후 조선은 청과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을 체결(1882)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5

 

풀이에 대한 접근) (가) 개항 이후 청국 상인들과 일본 상인들이 조선의 상권을 침식해 오자, 이에 반발한 시전 상인들은 철시하고 외국 상점들의 서울 퇴거를 요구하였다. 1890년대 시전상인들은 황국 중앙 총상회를 조직하여 상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근대적 생산 공장으로서 종로직조사의 설립과 운영에 투자하기도 하였다.

(나) 보안회는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서울에서 조직되었다. 보안회의 활동으로 황무지 개간권 요구는 취소되었다. (1904)

(다) 국채 보상 운동은 국채를 상환하여 국권을 회복하자는 운동으로, 양기탁, 김광제 등이 중심이 되어 대구에서 시작되었다. (1907)

 

① (가) - (나) - (다)

(가) (1890년대) - (나) (1904) - (다) (1907)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6

 

풀이에 대한 접근) 절영도 조차, 이상재 등에서 독립협회이다. 

 

① 정우회 선언의 영향으로 결성되었다. (×) - 신간회입니다.

②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 - 천도교입니다. 

③ 중추원 개편을 통해 의회 설립을 추진하였다. (○) - 독립협회입니다.

④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소년 운동을 전개하였다. (×) - 천도교입니다. 

⑤ 태극 서관을 운영하여 계몽 서적 등을 보급하였다. (×) - 신민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7

 

① (가)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 간행되었다. (×) - 박문국입니다. 

② (나) - 고종의 황제 즉위식이 거행된 장소이다. (×) - 환구단(원구단)입니다. 

③ (다) - 백동화가 주조되었다. (×) - 전환국입니다. 

④ (라) -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 (○) - 덕수궁 중명전에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⑤ (마) - 나운규의 아리랑이 처음 상영된 곳이다. (×) - 단성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8

 

풀이에 대한 접근) 조선 태형령에서 무단통치기(1910년대)이다. 

 

①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 - 1897년 대한제국입니다.  

② 신간회가 창립되었다. (×) - 1927년입니다. 

③ 치안 유지법이 적용되었다. (×) - 1925년입니다. 

④ 헌병 경찰제가 실시되었다. (○) - 1910년 일본은 강압적 통치를 목적으로 헌병 경찰 제도를 실시하였습니다. 

⑤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 - 1908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9

 

① ㄱ - 태학의 설립 취지를 찾아본다. (○)   

② ㄴ - 9재 학당의 수업 내용을 조사한다. (○) 

③ ㄷ - 명륜당과 대성전의 기능을 알아본다. (○) 

④ ㄹ - 동문학과 육영 공원의 운영 목적을 분석한다. (○)

⑤ ㅁ - 배재 학당, 이화 학당의 설립 시기를 파악한다. (×) - 교육입국조서(1895)가 2차 갑오개혁 때 반포되었습니다. 배재 학당(1885)과 이화 학당(1886)은 교육입국조서 이전에 설립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40

 

풀이에 대한 접근) 보통학교라는 명칭,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 6년 등에서 제2차 조선교육령(1922)이다. 

 

① 서당 규칙이 제정되었다. (×) - 1918년입니다.  

② 2 · 8 독립 선언이 발표되었다. (×) - 1919년 3.1 운동 이전입니다. 

③ 조선어 연구회가 결성되었다. (×) - 1921년입니다.

④ 조선 여자 교육회가 조직되었다. (×) - 1920년입니다.

⑤ 조선 민립 대학 설립 기성회가 창립되었다. (○) - 1922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