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풀이에 대한 접근) 최대 규모의 노동 운동, 라이징 선 석유 주식회사 등에서 원산 총파업(1929)이다.
①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 - 일제는 토지 조사 사업(1912~1918)으로 탈취한 토지를 동양 척식 주식회사를 비롯한 일본인의 토지 회사나 개인에게 헐값으로 불하하였습니다.
②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 농성을 벌였다. (○) - 강주룡은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평양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농성을 벌였습니다. (1931) 한국 최초의 여성노동운동가로 평가받습니다.
③ 황실의 지원을 받아 대한 천일 은행이 창립되었다. (×) - 1899년 고종이 자본금을 출자하여 대한 천일 은행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우리은행의 전신입니다.
④ 전국 단위의 조직인 조선 노농 총동맹이 조직되었다. (×) - 조선 노농 총동맹(1927)은 1920년대 후반에 결성된 통합조직으로, 노동운동이 조직화되었습니다.
⑤ 고율의 소작료에 반발하여 암태도 소작 쟁의가 발생하였다. (×) -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의 지주 문재철이 고율의 소작료를 징수하자 암태소작인회가 조직되었고, 지주는 목포 경찰을 이용하여 소직인의 움직임을 진압하려 하였습니다. 그러자 농민들은 추수를 거부하고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여하였습니다. (1923~1924)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일제 강점기 시기의 문화를 찾아본다.
① 서양식 의료의 수용, 광혜원 (×) - 제중원(광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으로 알렌의 건의를 받아들여 정부가 설립하였습니다. (1885)
② 근대적 우편 제도의 시작, 우정총국 (×) - 우정총국은 조선 후기 근대적 우편 업무를 총괄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우편 제도는 갑신정변(1884)으로 중단되었지만, 을미개혁(1895) 때 다시 재개되었습니다.
③ 전시 통제 체제 속에서 강요된 여성복, 몸뻬 (○) - 일제는 1944년 여자 정신 근로령을 내렸는데, 수십만 명의 여성이 군수 공장에 강제 동원되어 노역에 시달렸습니다. 몸뻬바지는 일할 때 입는 바지로 일본에서 유래하였습니다.
④ 근면, 자조, 협동을 기치로 내세운 새마을 운동 (×) - 1970년대 박정희 정권에 의해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정부가 주도하여 전국적으로 이루어진 근대화 운동으로, 가난을 극복하고 농촌의 생활 개선과 소득 증대를 위해 실시되었습니다.
⑤ 상품 광고의 새로운 장을 연 컬러텔레비전 방송 (×) - 전두환 정부는 야간 통행금지 해제, 교복·두발 자유화, 해외여행 자유화 등의 정책을 실행하였고 문화적으로 프로야구 출범,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실시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청천, 미얀마 전선 등에서 한국광복군이다.
① 자유시 참변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 - 독립군은 간도 참변 이후 조직을 정비하고 소련 영내의 자유시로 이동하였습니다. 자유시로 이동한 독립군은 소련 적색군에게 이용당하고 무장 해제를 당하였으며, 이에 저항하던 독립군은 무수한 사상자를 내었습니다. (자유시 참변, 1921. 06)
② 영릉가에서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 - 국민부 산하의 조선혁명군은 총사령관 양세봉을 중심으로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활발한 국내 진입 작전을 전개하였으며, 영릉가 전투(1932), 흥경성 전투(1933)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③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물리쳤다. (×) -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은 봉오동에서 일본군을 공격하여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봉오동 전투, 1920. 06)
④ 미군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 - 한국광복군은 미국과 연합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습니다.
⑤ 쌍성보 전투에서 한중 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 - 혁신의회 세력이 만든 한국 독립당 산하의 한국 독립군은 총사령관 지청천을 중심으로 북만주 지역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여 쌍성보 전투, 동경성 전투, 대전자령 전투에서 연합군을 크게 격파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중일 전쟁, 지원병, 창씨 개명 등에서 중일 전쟁 이후의 민족 말살 통치기이다.
일제는 중일 전쟁(1937) 개전 후, 내선일체와 일선동조론에 근거한 황국 신민화 정책으로, 창씨개명을 강압적으로 행하였으며 신사 참배에 강제로 동원하였습니다.
① 국방헌금 모금에 적극 협력하는 부호 (○)
②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받는 학생 (○)
③ 원각사에서 연극 은세계를 공연하는 배우 (×) - 최초의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에서 은세계(1908)가 공연되었습니다.
④ 내선일체에 협력하자는 논설을 쓰는 언론인 (○)
⑤ 국민 징용령에 의해 강제로 동원되는 노동자 (○)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백제의 수도, 백제 중흥을 위한 노력, 동학농민군의 치열한 전투 등에서 공주이다.
① 갑 - 수양개 유적을 조사하여 우리 고장에 살던 구석기인들이 다양한 기법으로 석기를 제작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충북 단양 수양개 유적에서는 몸돌, 돌망치가 발견되어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석기 제작소임이 밝혀졌습니다.
② 을 - 송산리 고분군의 벽돌무덤을 조사하여 무령왕이 중국 남조, 왜 등과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무령왕릉은 1971년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배수로 공사 중에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③ 병 - 만인의총을 조사하여 정유재란 당시 우리 고장의 백성들이 조명 연합군과 함께 결사 항전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만인의총은 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방어하다가 죽은 1만명의 사람을 모신 무덤입니다.
④ 정 - 만석보 유지비를 조사하여 우리 고장 농민들이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저항하여 봉기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맞서 동학 교도들과 농민들은 고부 농민 봉기를 일으켰습니다. (1894)
⑤ 무 - 아우내 3·1 운동 독립 사적지를 조사하여 유관순이 우리 고장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유관순은 아우내 장터에서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는 등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유엔군' 에서 6.25 전쟁이다. 6.25 전쟁은 1950.06~1953.07까지 일어난 전투이다.
① 애치슨 라인이 발표되었다. (×) - 6.25 전쟁이 발생되기 이전 국외에서는 미군이 철수하고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국을 제외한 애치슨 선언이 발표되는 등 국제 정세도 불리하게 작용되었습니다. (미국의 국무장관인 애치슨이 발표한 것으로, 미국의 태평양 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시켰고 한국 전쟁의 발발 원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② 한일 기본 조약이 체결되었다. (×) - 박정희 정권은 한일기본조약을 1965년 6월에 정식으로 조인하였고 12월에 발표하였습니다.
③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 5.18 민주화 운동(1980)을 진압한 후 신군부는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국보위)를 구성하여 입법, 사법 행정권을 장악하였습니다.
④ 김구, 김규식 등이 남북 협상에 참여하였다. (×) - 남북 협상(1948. 04)은 김구, 김규식이 제안했고, 김일성 김두봉이 이에 응함으로써 성사되었습니다.
⑤ 비상계엄이 선포된 가운데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 - 이승만은 6.25 전쟁 중 부산에서 공비 토벌을 구실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백골단, 땃벌대 등 폭력 조직을 만들어 국회 해산을 요구하게 하였습니다. 이후 대통령 간선제를 직선제로 헌법을 고치는, 이른바 발췌 개헌안은 기립 표결 등의 강압적인 방법으로 국회에서 통과시켰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우리나라 최초의 총선거,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등에서 5.10 총선거이다.
① 5·16 군사 정변 이후에 실시되었다. (×) - 5.16 군사 정변(1961)은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일부 군인이 사회적 무질서와 혼란을 구실로 군사 정변을 통해 정권을 장악한 사건입니다.
② 제헌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 1948년 5월 10일 남한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민주적인 절차(보통선거)에 의해 제헌 국회의원이 5.10 총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습니다.
③ 통일 주체 국민 회의 대의원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 - 7차 개헌 때, 대통령 선출방식을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선제로 바꾸었으며 연임 제한을 철폐하였습니다. (1972. 12, 유신 헌법)
④ 민의원, 참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국회가 탄생하였다. (×) - 4.19 혁명 이후 과도 정부는 새 헌법 제정에 나섰고,국회를 민의원과 참의원의 양원제로 구성하였습니다. (1960. 06, 3차 개헌)
⑤ 신한 민주당이 창당 한 달 만에 제1야당이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전두환 정부시기에 김영삼과 김대중을 공동 의장으로 한 민주화 추진 협의회가 조직되었습니다. 12대 총선을 목표로 하였으며 신한민주당을 창당하여 선거에 나갔고, 창당 한 달 만에 제1야당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서울 올림픽에서 노태우 정부 시기이다.
① 국민 교육 헌장이 발표되었다. (×) - 박정희 정부 시기입니다.
② 3당 합당으로 민주 자유당이 창당되었다. (○) - 1990년 소수 여당인 민주 정의당이 3당 합당을 통해 민주 자유당을 창당함으로서 여당은 다수 의석을 차지하였으나, 민주주의 정착과는 거리가 있으며, 노태우 정부 역시 부정과 비리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지는 못하였습니다.
③ 군 내부의 사조직인 하나회가 해체되었다. (×) - 김영삼 정부 때 12.12사태를 주도했던, 군 내부의 사조직인 하나회를 해체하였습니다.
④ 사회 정화를 명분으로 삼청 교육대가 설치되었다. (×) - 전두환 정부 시기입니다.
⑤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금 모으기 운동이 전개되었다. (×) - 김대중 정부 시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부산과 마산 지역, YH 무역 사건, 야당 총재 제명 등에서 부마 항쟁이다.
① 유신 체제 붕괴의 배경이 되었다. (○) - 신민당사에서 YH 무역 노동자들이 농성을 한 YH무역사전을 계기로 야당 총재인 김영삼을 국회에서 제명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으나 박정희 유신 정권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켜 진압하였습니다.
② 시민군을 조직하여 계엄군에 대항하였다. (×) - 광주에서 시작된 5.18 민주화 운동(1980)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시위 도중 김주열이 최루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 - 3.15 부정 선거로 인하여 3.15 마산 의거가 발생하였고 김주열의 시체가 바다로 떠오르면서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4.19 혁명, 1960)
④ 직선제 개헌을 약속한 6·29 선언을 이끌어냈다 . (×) - 4.13 호헌 조치는 정부의 장기 집권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받아들여져 큰 반발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시민과 학생들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민주헌법쟁취 등의 구호를 내세우고 시위를 전국적으로 벌였습니다. (6월 민주 항쟁) 이로 인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 기본권 보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6.29 민주화 선언(1987)을 노태우 대표가 발표하였습니다.
⑤ 대통령이 하야하여 미국으로 망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4.19 혁명 이후, 이승만 대통령은 결국 하야 성명을 내고 미국으로 망명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남북 정상 회담, 햇볕 정책 등에서 김대중 정부 시기이다.
① 남북 기본 합의서를 교환하였다. (×) - 노태우 정부 시기입니다.
②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박정희 정부 시기입니다.
③ 6·15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 - 김대중 정부는 2000년 6월에는 평양에서 역사적인 남북 정상 회담이 최초로 이루어져 6. 15 남북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습니다.
④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에 합의하였다 . (×) - 노태우 정보 시기입니다.
⑤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의 교환을 최초로 실현하였다. (×) - 전두환 정부 시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5.01.16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0) | 2025.01.0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5.01.0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5.01.0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1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