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풀이에 대한 접근) [별무반] 고려의 윤관은 기병이 중심인 신기군(기병)을 주축으로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으로 구성된 별무반을 편성(1104)하여 침입에 대비하였다. 이후 예종 때, 윤관은 9개의 성(동북 9성)을 쌓아 군사를 주둔시켰다. (1107)
④ (라)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키워드) 준풍, 백관의 공복, 개경 등에서 광종이다.
① 12목에 지방관이 파견되었다. (×) - 고려의 성종입니다.
②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가 시행되었다. (○) - 광종은 쌍기의 건의로 과거제를 실시하였습니다.
③ 대장도감에서 팔만대장경이 간행되었다. (×) - 고려의 고종입니다.
④ 안우, 이방실 등이 홍건적을 격파하였다. (×) - 고려의 공민왕입니다.
⑤ 신돈이 전민변정도감의 책임자가 되었다. (×) - 고려의 공민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양계와 5도, 은병 등에서 고려 시기이다.
① 백동화를 주조하는 전환국의 기술자 (×) - 전환국은 1883년부터 1904년까지 화폐주조를 담당한 기구입니다. 당오전, 은화, 백동화를 발행, 유통하였습니다.
② 신해통공 시행 소식에 기뻐하는 난전 상인 (×) - 조선 후기 정조 시기입니다.
③ 불법적인 상행위를 감독하는 경시서의 관리 (○) - 고려 정부는 개경 내에서 매점매석과 같은 상행위를 감독하고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경시서를 설치하였습니다. 경시서는 조선 초까지 이어지다가 세조 때에 평시서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④ 담배, 인삼 등의 상품 작물을 재배하는 농민 (×) - 17세기 이후 시기입니다.
⑤ 물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광산을 운영하는 덕대 (×) - 조선 후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원종은 원나라를 배경으로 1270년 개경 환도를 단행하였으며 왕정복구를 진행하였다. 삼별초는 이에 항전을 결의하였다.
①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몽골군을 격퇴하였다. (×) - 몽골의 2차 침입(1232) 때, 김윤후는 몽골 군대의 총사령관인 살리타를 화살을 쏘아 죽였고, 결국 몽골군은 처인성에서 크게 패하고 물러갔습니다. 원 간섭기 이전입니다.
② 묘청이 칭제 건원과 금국 정벌을 주장하였다. (×) -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은 고려 전기의 무신정변 이전에 발생하였습니다.
③ 김방경의 군대가 탐라에서 삼별초를 진압하였다. (○) - 삼별초는 김통정의 지휘 아래 근거지를 탐라(제주)로 옮기고 마지막 항거를 계속하였습니다.
④ 최충헌이 봉사 10조를 올려 시정 개혁을 건의하였다. (×) - 무신집권기 고려 명종 때입니다.
⑤ 경대승이 정중부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 - 무신집권기 시기에 발생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① 안동 봉정사 극락전 (○) - 정면 3칸, 측면 4칸의 주심포계 맞배지붕 건물로 기둥은 배흘림 양식입니다. 1972년 보수공사 때 발견된 상량문에 의해 건립연대가 1200년대 초로 추정되었으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입니다.
② 보은 법주사 팔상전 (×) -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 때 재건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조선 시대 목탑입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으며 조선 후기의 중요한 건축물입니다.
③ 구례 화엄사 각황전 (×) - 조선 후기의 건축물입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인조 때 화엄사를 복구하였으며 각황전은 숙종 때 중건되었습니다. 정면 7칸, 측면 5칸으로 내부 전체가 한 칸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④ 예산 수덕사 대웅전 (×) -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고려 충렬왕 때 건축되었으며 주심포 양식으로 백제 계통의 목조건축 양식을 계승하였습니다. 대웅전을 수리할 때 나온 문서에 의해 건축연대가 정확하게 확정되어 있는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 경북 영주시에 있는 주심포 양식의 건축물입니다. 고려 중기 후반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국자감 (992년 설치)]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은 6개의 교육과정(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산학, 서학)을 두었다. 그러나 고려의 예종 때 최충의 문헌공도를 비롯한 사학 12도가 융성하였다. 이에 관학이 쇠퇴하자, 국자감에 사학을 모방하여 전문 강좌인 7재를 운영하였고 양현고를 두어 장학 기금을 마련하였다.
① 양현고를 두어 장학 기금을 마련하였다. (○) - 고려의 예종 때 최충의 문헌공도를 비롯한 사학 12도가 융성하였습니다. 이에 관학이 쇠퇴하자, 국자감에 사학을 모방하여 전문 강좌인 7재를 운영하였고 양현고를 두어 장학 기금을 마련하였습니다.
② 서원을 세워 후진 양성과 선현 제향에 힘썼다. (×) - 조선시대의 사교육입니다.
③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여 문신들을 재교육하였다. (×) - 조선시대 정조의 업적입니다.
④ 만권당을 설립하여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게 하였다. (×) - 고려 충선왕이 원나라 연경에 있을 때 세운 독서당입니다.
⑤ 경당을 설치하여 청소년에게 글과 활쏘기를 가르쳤다. (×) - 고구려 시대 지방에 사설 교육 기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왕자의 난, 이방간 등에서 태종 이방원이다.
① 과전을 혁파하고 직전을 설치하였다. (×) - 세조입니다.
②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두었다. (×) - 고려 말 우왕 시기입니다.
③ 어영청을 중심으로 북벌을 추진하였다. (×) - 효종입니다.
④ 왕권 강화를 위해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다. (○) - 태종은 왕이 직접 6조를 관할하는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습니다.
⑤ 궁중 음악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을 편찬하였다. (×) - 성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김종직, 김일손 등에서 무오사화이다.
① 계유정난의 배경이 되었다. (×) - 세종 이후 병약한 문종이 일찍 죽고 나이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습니다. 정치의 실권이 김종서, 황보인 등 재상에게 넘어가자, 이에 수양대군은 계유정난(1453)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② 조의제문이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 (○) -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포함시킨 이는 김종직의 제자인 김일손으로, 이로 인해 무오사화(1498)가 발생되었습니다.
③ 반정 공신의 위훈 삭제를 주장하였다. (×) - 조광조의 기묘사화(1519)입니다.
④ 윤임 일파가 제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명종 때 발생한 을사사화입니다.
⑤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뉘는 계기가 되었다. (×) - 동인은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타격을 입었고, 이후 정철의 처리를 두고서 남인과 북인으로 분열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경재소는 조선 초에 중앙 관직에 오른 현직 관료에게 자기 출신 지역의 유향소에 대한 연대 책임을 지게 한 제도이다. 유향소는 향촌 사족 유지들의 자치 기구로, 이들은 수령을 감시, 보좌하고 향리를 규찰하면서, 풍속을 교정하면서 지방 행정에 참여하였다.
① 주세붕이 처음 설립하였다. (×) - 서원의 시초는 조선 중종 때 풍기 군수 주세붕이 안향의 구가에 세운 백운동서원(경북 영주시)입니다.
②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하였다. (○) - 유향소의 장으로써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하였습니다.
③ 중앙에서 교수와 훈도를 파견하였다. (×) - 향교입니다.
④ 대성전을 세워 성현에 제사를 지냈다. (×) - 성균관과 향교입니다.
⑤ 흥선 대원군에 의해 대부분 철폐되었다. (×) - 서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① (○) -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국보 2호로 서울시 탑골공원에 있습니다. 조선 세조 때 대리석으로 만든 탑으로 형태가 특수하고 각 층 옆면에 용, 연꽃, 신선 등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원의 라마불교의 영향을 받은 고려의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② (×)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한국의 가장 오래된 석탑입니다. 백제 무왕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목탑 양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석탑입니다. 국보 제1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③ (×) - 경주 불국사 다보탑은 통일 신라 때 만들어진 문화유산입니다. 다보탑은 불국사 대웅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탑 중 동편의 탑으로 서편의 석가탑과 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④ (×) - 충청남도 부여에 남아 있는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목탑의 특징이 나타난 석탑입니다.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석탑으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⑤ (×) - 발해의 영광탑은 중국 길림성 장백 조선족자치현 현성 서북쪽의 탑산 정상에 위치하였습니다. 13미터 높이의 5층 벽돌탑으로, 당나라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3.05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3.0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0) | 2024.03.0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3.0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