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풀이에 대한 접근) 청동기 시대의 유물들은 구릉에 자리 잡은 집터를 비롯하여 고인돌,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등 청동기 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다. 고인돌은 지배층의 무덤, 집단 무덤, 묘역의 표시, 제단 등으로 추정되며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만들었다.
①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 지증왕 때 우경이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12세기 이후에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고 시비법이 발달하였습니다.
②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 - 구석기시대입니다.
③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④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처음 사용하였다. (×) - 신석기시대입니다.
⑤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 - 구석기시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키워드) '삼국유사'와 '동국통감'의 기록에 따르면 고조선은 단군왕검이 건국하였는데(B.C. 2333년), 단군왕검은 당시 제정일치의 지배자 칭호였습니다.
① 백제와 연합하여 금성을 공격하였다. (×) - 가야와 왜에 대한 설명입니다.
② 마립간이라는 왕의 칭호를 사용하였다. (×) - 신라의 내물마립간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 고구려의 고국천왕에 대한 설명입니다.
④ 목지국을 압도하고 지역의 맹주로 발돋움하였다. (×) - 백제는 마한의 한 나라였으며 마한의 맹주인 목지국의 세력이 약화되자 마한의 맹주국이 되었으며 이후 마한지역을 통합하였습니다.
⑤ 살인, 절도 등의 죄를 다스리는 범금 8조가 있었다. (○) - 고조선에서는 법률로 범금 8조를 만들어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였습니다. 8조의 법에서 노비 발생, 노동력과 사유 재산 인정, 생명 존중, 형벌의 존재, 가부장적 가족 제도 확립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가) 고구려의 정치 제도에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다. 고구려는 10월에 추수 감사제인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성대하게 치렀으며, 아울러 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함께 제사를 지냈다.
(나) 동예에서는 10월에 무천이라고 하는 제천 행사가 거행되었으며, 씨족 사회의 전통으로서 족외혼을 엄격하게 지켰고, 각 부족의 영역을 함부로 침범하지 못하게 하였다. 만약 다른 부족의 생활권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게 하였다.
① (가) - 낙랑과 왜에 철을 수출하였다. (×) - 변한입니다.
② (가) -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 고구려의 풍속입니다.
③ (나) - 연의 장수 진개의 공격을 받았다. (×) - 진개는 기원전 3세기 초의 연나라의 장군으로 고조선을 공격하여 영토를 정복하였습니다.
④ (나) -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 부여에 대한 설명입니다.
⑤ (가), (나) -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다. (×) - 신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① (×)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국립중앙박물관) :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입니다.
② (○)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이 불상은 국보 제83호로 머리에 삼산관을 쓰고 있습니다. 뚜렷하게 조각된 눈, 코, 입 드리고 균형잡힌 신체, 입체적으로 처리된 옷주름 등이 뛰어난 조각 수법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일본 고류사에 있는 불상과 모습이 매우 비슷하여 일본에 전파된 우리 고대 문화의 흔적을 보여줍니다. 7세기 전반의 신라 불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③ (×) - 발해의 이불병좌상 : 석가불과 다보불이 나란히 앉아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발해의 동경용원부에서 발견되었으며 고구려 불상 조각의 전통을 계승하였습니다.
④ (×)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 6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고구려 불상입니다.
⑤ (×) - 춘궁리철조석가여래좌상 : 고려시대 초기의 불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무덤에서 무령왕릉을 추정하여 풀 수 있다.
① 익산에 미륵사를 창건하였다. (×) - 백제 무왕이 익산에 미륵사를 건립하였습니다.
②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 성왕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다. (○) - 무령왕은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해 지방에 22담로를 두어 왕족을 파견하였습니다.
④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 - 백제 근초고왕입니다.
⑤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 - 마라난타는 인도의 고승으로 동진을 거쳐 백제로 와서 불교를 전파하였습니다. (침류왕)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시무책 10여 조에서 최치원이다.
① 유식의 교의를 담은 해심밀경소를 저술하였다. (×) - 통일 신라의 승려 원측은 유식의 교의를 담은 해심밀경소를 저술하였습니다.
② 외교 문서 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작성하였다. (×) - 신라 중기에 활약하였던 강수는 당, 고구려, 백제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전담하였으며 당나라에 갇혀있던 김인문의 석방을 요청한 청방인문표로 유명합니다.
③ 한자의 음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이두를 정리하였다. (×) - 설총은 한자의 음훈을 빌려 고대 한국어를 표현한 이두를 정리하였습니다.
④ 신라 말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해인사 묘길상탑기를 남겼다. (○) - 최치원은 신라 말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해인사묘길상탑기를 남겼습니다.
⑤ 종파 간의 사상적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십문화쟁론을 지었다. (×) - 원효의 저서로는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가) 백제의 의자왕은 윤충을 보내 신라의 대야성을 함락(642)시키고 신라를 공격하여 40여 성을 빼앗았다.
(나) 신라의 사비성 포위이다. (660)
(다) 백제 부흥 운동(660~664) : 복신과 도침(주류성), 흑치상지(임존성) 등은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군사를 일으키면서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
(가) (642) - (나) (660) - (다) (660~664)
① (가) - (나) - (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신문왕은 중앙 관제를 집사부 등 14부 관청으로 정비하였고, 지방 관제는 9주 5소경 체제를 완비하였다.
① 금관가야가 멸망하였다. (×) - 법흥왕 시기입니다.
② 이사부가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 지증왕 시기입니다.
③ 조세를 관장하는 품주가 설치되었다. (×) - 진흥왕 시기입니다.
④ 관료전이 지급되고 녹읍이 폐지되었다. (○) - 신문왕 시기입니다.
⑤ 인재 등용을 위한 독서삼품과가 실시되었다. (×) - 신라 원성왕 시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정당성에서 발해이다.
①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두었다. (○) - 발해의 3대왕 문왕은 당의 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여 3성 6부 체제를 갖추었으며 핵심 부서로 정당성을 두었는데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정대를 두어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으며 교육 기관으로 주자감을 설치하였습니다.
② 신라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다. (×) - 고구려의 광개토 대왕입니다.
③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갖추었다. (×) - 통일 신라입니다.
④ 개국, 태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 신라의 진흥왕은 개국, 태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 백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견훤은 900년에 완산주(전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
(1) 고려 건국 (918) : 왕건은 고구려 계승 이념을 바탕으로 고려를 건국하였으며, '천수'라는 독자적 연호를 세우고 자신의 세력 근거지였던 송악(개성)으로 천도(919)하였다.
(2) 공산 전투 (927) : 고려와 후백제가 대립하자 신라는 고려를 지지하였다. 이에 후백제의 견훤은 군대를 이끌고 경주를 기습하였다. 신라는 고려에 구원을 요청하였으나 늦었으며 경애왕은 살해당하고 경순왕이 세워졌다. 공산(대구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은 크게 패하여 장군 김락과 신숭겸 등이 죽고, 많은 군사가 전사하였다.
(3) 고창 전투 (930) :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대결한 고창 전투는 현재의 안동 지방에서 일어난 결전으로 왕건이 고창에 오자 고창의 호족은 왕건에 투항하였다. 이에 호족들의 지원에 힘입어 고려군은 후백제군과의 접전끝에 대승을 거두었다.
(4) 견훤 귀순 (935.06) : 아들 신검의 쿠데타로 금산사에 유폐되어 있던 견훤이 금산사를 탈출하여 고려에 망명하였다. 왕건에게 환대를 받았다.
(5) 신라 항복 (935.11) : 고려의 왕건은 대외적으로 중국의 5대 여러 나라들과 외교 관계를 맺어 안정을 꾀하였고, 발해 유민을 포섭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지방 세력을 흡수, 통합하고, 신라에 대하여 우호 정책을 내세워 신라인들을 회유하였는데, 결국 신라의 경순왕은 고려에 자진 항복하였다.
(6) 일리천 전투 (936.09) : 구미 지역에서 왕건의 고려군과 신검의 후백제군이 집결하여 벌어진 전투이다. 견훤이 고려군에 참전한 것이 알려지면서 후백제군의 사기가 떨어져 후백제군이 대패하였다.
(7) 후삼국 통일 (936) : 일리천 전투에서 패배한 후백제 군은 황산 전투에서 고려군에 대항하였으나 패배하고,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는 멸망하였다.
① 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을 크게 무찔렀다. (○) - 후백제의 견훤은 군대를 이끌고 경주를 기습하였습니다. 신라는 고려에 구원을 요청하였으나 늦었으며 경애왕은 살해당하고 경순왕이 세워졌습니다. 공산(대구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은 크게 패하여 장군 김락과 신숭겸 등이 죽고, 많은 군사가 전사하였습니다.
② 귀순한 김순식에게 왕씨 성을 하사하였다. (×) - 김순식은 고려 호족이며 왕씨 성을 하사한 건 고려의 태조 왕건입니다.
③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 원 간섭기 시기인 고려 충목왕 때입니다.
④ 청해진을 근거지로 해상 무역을 전개하였다. (×) - 통일신라 장보고입니다.
⑤ 광평성을 설치하고 광치나, 서사 등의 관원을 두었다. (×) - 궁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3.04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3.0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3.0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2.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5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