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5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by joocabin 2024. 4. 13.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5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65-21

 

풀이에 대한 접근) 단종이 세조에게 선위한 이후 단종 복위 운동(1456)이 일어났다. 성삼문, 박팽년 등이 세조가 명나라 사신을 만나는 틈을 이용해 세조를 제거하려다 계획이 어긋나서 실패하였다. 이 일이 있은 뒤에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귀양을 갔다. 한편 집현전에서 단종 복위 운동 참여자들이 많이 나왔고 집현전은 폐지되었다. 

 

① 인조반정으로 북인 세력이 몰락하였다. (×) - 인조반정은 조선 후기입니다.

② 인현왕후가 폐위되고 남인이 권력을 차지하였다. (×) - 숙종 시기 기사환국(1689)입니다. 

③ 계유정난을 통해 수양대군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 - 세종 이후 병약한 문종이 일찍 죽고 나이 어린 단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이 크게 약화되었습니다. 정치의 실권이 김종서, 황보인 등 재상에게 넘어가자, 이에 수양대군은 계유정난(1453)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④ 이인좌를 중심으로 한 소론 세력이 난을 일으켰다. (×) - 영조 때입니다.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으로 인해 김굉필 등이 처형되었다. (×) - 연산군 시기 갑자사화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2

 

(○) - 안견의 몽유도원도로 안견이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를 듣고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표현한 작품입니다. 세종 때 만들어졌습니다. 

(×) - 추사 김정희 세한도로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그린 그림입니다. 

 (×) - 김홍도 옥순봉도 

(×) - 강희안 고사관수도로 조선 전기의 산수인물화, 선비가 수면을 바라보며 무념무상에 빠진 모습을 담고 있는데, 세부 묘사는 대담하게 생략하고 간결하고 과감한 필치로 인물의 내면세계를 느낄 수 있게 표현하였습니다. 

(×) - 정선 인왕제색도로 겸재 정선은 18세기의 주요 화가로 진경산수화라는 우리 고유의 화풍을 개척하였습니다. 인왕제색도는 인왕산을 배경으로 비 온 뒤에 안개가 피어오르는 모습을 담아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3

 

풀이에 대한 접근) 봉림대군, 강화도 피난 및 함락 등에서 병자호란이다. 

 

① 조명 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 - 임진왜란 때입니다.

② 강홍립이 사르후 전투에 참전하였다. (×) - 광해군은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키면서 동시에 후금을 자극하지 않는 정책을 추구하였는데, 강홍립에게 1만 3천명의 군대를 주어 원군을 파병하되 상황을 보아 향배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후금과 적대 관계를 맺지 않도록 당부하였습니다. 조명 연합군은 후금군에게 패배(사르후 전투, 1619)하였고, 강홍립 등은 후금에게 항복하였습니다. 

③ 김준룡이 광교산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 - 병자호란 때입니다.

④ 김종서가 두만강 일대에 6진을 개척하였다. (×) - 세종 때입니다.

⑤ 곽재우, 김천일 등이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 -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의병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4

 

풀이에 대한 접근) 화성, 아버지인 사도세자 등에서 정조이다. 

 

① 청과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 숙종 때입니다.

②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자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 - 영조입니다. 

③ 왕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해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 - 흥선 대원군입니다.  

④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려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 조선 철종입니다. 

⑤ 시전 상인의 특권을 축소하는 신해통공을 단행하였다. (○) - 정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5

 

풀이에 대한 접근) 경기도 내 시범실시, 방납, 선혜청 등에서 대동법이다. 

 

①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과하였다. (×) - 흥선대원군의 호포법(호포제)입니다.

② 수신전과 휼양전을 폐지하였다. (×) - 세조 때 실시한 직전법입니다. 

③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 - 고종입니다. 

④ 전세를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차등 과세하였다. (×) - 세종입니다. 

⑤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공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 - 대동법은 집집마다 부과하여 토산물을 징수하였던 공물 납부 방식을 토지의 결수에 따라 쌀(米), 삼베나 무명(布), 동전(錢)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6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세종 때 이종무가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1419)

(나) 개경 환도 후 원과 강화한 고려는 원의 내정 간섭과 수탈을 당하게 된다. 원은 강화를 맺은 이후에 일본 원정을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했다. (1280) 고려는 원의 요청으로 일본 원정에 2차례 참여하였다.

(다) 최무선은 화통도감을 설치하고 화약, 화포를 제작하였다. 1380년 왜구가 쳐들어오자 처음으로 화포 등을 사용해 진포(금강하구)에서 왜선 500여 척을 전멸시켰다. (진포대첩) 나세와 심덕부는 진포대첩에서 최무선과 같이 왜구를 격퇴하였다.

(라) 진주 대첩(1592.11) -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어 해상을 장악하였다. 이에 왜군은 전라도의 곡창지대를 목표로 요충지인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진주 목사 김시민과 관군, 백성이 합세하여 일본군을 막아내었다. 한산도대첩, 행주대첩, 진주대첩은 임진왜란의 3대 대첩이다.

 

④ (나) - (다) - (가) - (라)

(나) (원 간섭기) - (다) (1380) - (가) (1419) - (라) (1592)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7

 

풀이에 대한 접근) 성호사설에서 성호 이익이다. 

 

① 마과회통에서 홍역에 대한 지식을 정리하였다. (×) - 정약용입니다.

② 의산문답에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 - 홍대용입니다. 

③ 발해고에서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 - 유득공입니다. 

④ 곽우록에서 토지 매매를 제한하는 한전론을 제시하였다. (○) - 성호 이익은 성호사설, 곽우록을 통하여 토지의 배분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토지 매매를 제한하는 한전론, 토지에 바탕을 둔 조세제도를 주장하였습니다. 

⑤ 금석과안록에서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하였다. (×) - 추사 김정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8

 

풀이에 대한 접근) 판소리, 한글 소설 등에서 조선 후기이다. 

 

① 주자소에서 계미자를 만드는 장인 (×) - 태종 때(조선 전기)입니다.

② 송파장에서 산대놀이를 공연하는 광대 (○)

③ 대규모 자본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도고 (○) 

④ 시사를 조직하여 작품 활동을 하는 중인 (○) 

⑤ 인삼, 담배 등을 상품 작물로 재배하는 농민 (○)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29

 

풀이에 대한 접근) (가) 흥선 대원군은 왕권 강화와 재정 수입 확보를 위해 개혁 정치를 실시하였다. (1863)

(나) 흥선 대원군은 통상을 요구하면서 침입한 프랑스와 미국의 침략을 격퇴하였고 이후 종로와 전국 각지에 척화비가 세워졌다. 

 

①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 (나) 이후입니다. 

② 일본의 운요호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 - 강화도 조약의 배경입니다. 

③ 러시아가 용암포에 대한 조차를 요구하였다. (×) - 1903년 (나) 이후입니다.

④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 충남 덕산에 있는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입니다. (1868) 

⑤ 미국이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후 푸트 공사를 파견하였다. (×) - (나) 이후의 사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5-30

 

풀이에 대한 접근) 구식 군인 차별 대우에서 임오군란이다. 

 

①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 (×) - 독립협회입니다.

② 조선 총독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실패하였다. (×) - 1910년대입니다. 

③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일어났다. (×) - 갑신정변입니다.

④ 홍범 14조를 기본 개혁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 - 1894년 12월 제2차 갑오개혁입니다.

⑤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이 주둔하는 계기가 되었다. (○) - 임오군란 이후 조선은 일본과 제물포 조약(1882.07)을 체결하여 배상금을 물고, 일본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을 인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