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by joocabin 2024. 4. 17.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6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66-11

 

풀이에 대한 접근) (가) 광군은 고려 정종(923~949) 때 거란을 대비하여 조직된 특수 부대이다. 광군사의 통제를 받았다.

(나) 거란의 3차 침입 때, 고려에서는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강감찬을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여 청야전술을 펼치며 거란군을 괴롭혔다. 이에 거란군은 개경 근처까지 접근했으나 철군하였고 철군과정에서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귀주대첩, 1019)

(다) 서희가 거란의 장수 소손녕과 담판(고구려의 옛 땅은 우리 땅이라고 주장함)에 나섰다. 이때 거란으로부터 고려가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인정받고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를 확보하는 한편, 거란과 교류할 것을 약속하였다. 

 

② (가)-(다)-(나) (○) - (가)(고려초기)-(다)(993)-(나)(1019)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2

 

풀이에 대한 키워드) 관리들의 풍속 교정, 탄핵 등에서 고려의 어사대이다. 

 

① 무신 집권기 최고 권력 기구였다. (×) - 교정도감입니다.

② 원 간섭기에 첨의부로 격하되었다. (×) -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통합되어 첨의부로 개편되었습니다.

③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개편되었다. (×) - 도병마사는 도평의사사(도당)로 개편되었습니다. 

④ 관직 임명에 대한 서경권을 행사하였다. (○) - 어사대는 관리를 감찰하고 풍기를 단속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사헌대라고 불렸습니다. 어사대의 관원과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대간이라 하였습니다. 이들은 간쟁, 봉박의 업무를 담당하였고, 서경권을 행사하였습니다. 

⑤ 서얼 출신의 학자들이 검서관으로 기용되었다. (×) - 규장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3

 

ㄱ. 양규가 무로대에서 적군을 물리쳤다. (×) - 양규는 고려-거란 전쟁(2차 침입)에서 등장합니다.

ㄴ. 김윤후가 충주성 전투에서 활약하였다. (○) - 김윤후는 몽골의 5차 침입 때 충주성에서 몽골군을 격퇴(1252)하였습니다.  

ㄷ. 송문주가 죽주성에서 적군을 격퇴하였다. (○) - 몽골의 3차 침입 때, 죽주산성에서 송문주가 몽골을 격퇴하였습니다.

ㄹ.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 9성을 쌓았다. (×) - 예종 때, 윤관은 부원수 오연총과 함께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 9성을 쌓아 군사를 주둔시켰습니다(1107).

 

③ ㄴ, ㄷ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4

 

풀이에 대한 접근) 경대승은 정중부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한 후, 신변호위 및 권력 강화 기구로 도방을 설치하였다. 이후 경대승이 죽은 뒤에 도방은 해체되었으나 최충헌이 정권을 잡은 후 사병 조직으로서 도방이 부활하였다. 도방은 최우 때 설치된 삼별초와 함께 최 씨 정권을 유지하는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무신정변 시기의 흐름도>

(중방) 이의방→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교정도감) 최충헌

(교정도감, 정방) 최우 →최항 →최의 →김준 →임연, 임유무

 

① 묘청 등이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 - 묘청의 난은 고려 전기이며 무신 정권 이전입니다. 

② 최충헌이 왕에게 봉사 10조를 올렸다. (○) - 최충헌은 무신 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고 국가 기반을 확립할 목적으로 명종에게 봉사 10조를 올려 시정 개혁을 건의하였습니다. 

③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왕을 폐위하였다. (×) - 강조의 변은 10~11세기 거란의 2차 침입 시기(1009)입니다. 

④ 이자겸과 척준경이 반란을 일으켜 궁궐을 불태웠다. (×) - 이자겸의 난(1126)입니다. 

⑤ 김보당이 폐위된 왕의 복위를 주장하며 군사를 일으켰다. (×) - 김보당은 쿠테타로 정권을 잡은 정중부, 이의방을 제거하고 의종 복위를 도모하며, 군사를 일으켰습니다. (김보당의 난, 1173)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5

 

풀이에 대한 접근) 쌍성총관부, 이자춘 등에서 공민왕이다. 

 

① 초량 왜관에서 교역하는 상인 (×) - 조선 숙종 때입니다.

② 내의원에서 동의보감을 읽는 의원 (×) - 조선 광해군입니다.

③ 주자감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생 (×) - 발해입니다.

④ 전민변정도감에 억울함을 호소하는 농민 (○) - 공민왕입니다.

⑤ 황룡사 구층 목탑의 건립에 참여하는 장인 (×) - 선덕여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6

 

풀이에 대한 접근) 보조국사 지눌의 수선사 제2대 사주가 되었다는 것에서 혜심이다.

 

①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 사상을 정리하였다. (×) - 신라 승려 의상입니다. 

② 해동 천태종을 개창하여 불교 교단 통합에 힘썼다. (×) - 대각국사 의천입니다.

③ 선문염송집을 편찬하고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 - 혜심입니다.

④ 권수정혜결사문을 작성하여 정혜쌍수를 강조하였다. (×) - 지눌입니다. 

⑤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교리를 대중에게 전파하였다. (×) - 화엄종 승려 균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7

 

(○) - 고려 전기 때 제작된 평창 월정사 8각 9층 석탑은 고려의 독자적 양식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다각 다층의 석탑입니다. 

(×) - 경주 정혜사지 13층 석탑은 통일신라 시기의 석탑입니다. 동 시기의 다른 석탑과는 다른 독특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 -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원의 라마 불교의 영향을 받은 석탑입니다. 대리석으로 만들었습니다. 이후 조선 시대 원각사지 10층 석탑으로 계승되었습니다. 대한 제국 시기에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비난 여론이 일자 일제강점기에 반환되었습니다. 국립 중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 - 발해의 영광탑은 중국 길림성 장백 조선족자치현 현성 서북쪽의 탑산 정상에 위치하였습니다. 13미터 높이의 5층 벽돌탑으로, 당나라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8

 

풀이에 대한 접근) 정몽주는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태종)이 보낸 자객에 의해 개성 선죽교에서 살해당했다. 

 

① 최승로가 시무 28조를 올렸다. (×) - 고려 성종 시기입니다.  

② 권근 등의 건의로 사병이 혁파되었다. (○) - 조선 태종입니다.

③ 안우, 이방실 등이 홍건적을 격파하였다. (×) - 공민왕 때입니다. 

④ 망이 · 망소이가 공주 명학소에서 봉기하였다. (×) - 무신집권기입니다. 

⑤ 쌍기의 의견을 수용하여 과거제가 시행되었다. (×) - 고려 광종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19

 

풀이에 대한 접근) 세종은 금속 활자인 갑인자를 주조하였다. 

 

①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 - 조선 성종 때 최종 완성하고 반포하였습니다.

②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를 간행하였다. (×) - 조선 영조입니다.

③ 삼남 지방의 농법을 소개한 농사직설을 편찬하였다. (○) - 세종 때입니다. 

④ 전세를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을 제정하였다. (×) - 인조입니다. 

⑤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 조선 철종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6-20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조의제문에서 무오사화이다. (1498)

(나) 조광조의 축출에 관한 내용에서 기묘사화이다. (1519)

 

①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일어났다. (×) - 정여립 모반 사건(기축옥사, 1589)을 계기로 우의정에 특배된 송강 정철이 사건을 의도적으로 확대하여 이발 등의 동인 세력을 제거하였습니다. 

② 외척 간의 권력 다툼으로 윤임이 제거되었다. (×) - 을사사화입니다. 

③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다. (×) - 조선 현종 때 예송 논쟁이 두 차례 벌어졌습니다. 서인과 남인이 대립하였으며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장렬왕후)의 복상 문제로 예송이 전개되었습니다. 

④ 희빈 장씨 소생의 원자 책봉 문제로 환국이 발생하였다. (×) - 기사환국입니다.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을 빌미로 김굉필 등이 처형되었다. (○) - 갑자사화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