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by joocabin 2024. 4. 27.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68-11

 

풀이에 대한 접근) 노비안검법, 쌍기 등에서 광종이다. 

 

① 최승로가 시무 28조를 건의하였다. (×) - 고려 성종입니다.

② 경기에 한하여 과전법이 실시되었다. (×) - 고려 공양왕입니다.  

③ 신돈이 전민변정도감의 판사가 되었다. (×) - 고려 공민왕 시기입니다. 

④ 빈민 구제 기관인 흑창이 처음 설치되었다. (×) - 태조 왕건입니다. 

⑤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 연호가 사용되었다. (○) - 고려 광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2

 

풀이에 대한 키워드) 개경에서 고려 시대이다. 고려 시대에 서울을 남경이라 불렀으며, 우왕과 공양왕 때, 일시적으로 천도한 적이 있다. 

 

①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 백제 무령왕입니다. 

② 전국에 9주 5소경을 설치하였다. (×) - 통일신라입니다.

③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 부곡, 소가 있었다. (○) - 고려입니다. 

④ 지방관을 감찰하기 위하여 외사정을 두었다. (×) - 신라 문무왕입니다.

⑤ 지방 행정 구역을 8도로 23부로 개편하였다. (×) - 제2차 갑오개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3

 

풀이에 대한 접근) (가) 금나라를 건국하고 고려에 형제의 관계를 요구하였다.(1117)

(나) 윤관의 동북 9성(1107)

(다) 서경 천도 운동, 묘청의 난(1135) 이전

 

③ (나) - (가) - (다) (○) - (나) (1107) - (가) (1117) - (다) (1135 이전)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4

 

풀이에 대한 접근)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조선시대에 보급된 별자리 지도이다. 

 

① 고구려 무용총에 별자리를 그린 벽화가 있어. (○)

② 삼국사기에 일식, 월식에 관한 많은 관측 기록이 있어. (○)

③ 충선왕은 서운관에서 천체 운행을 관측하도록 했어. (○) 

④ 선조 때는 날아가서 폭발하는 비격진천뢰가 개발되었어. (×) - 비격진천뢰는 조선 중기에 사용된 폭탄으로 조선 선조 때 이장손이 발명하였습니다. 

⑤ 홍대용이 의산문답을 통해 지전설과 무한 우주론을 주장했어. (○)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5

 

풀이에 대한 접근) 우별초, 최 씨 무신 정권 등에서 삼별초이다.

 

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고자 창설되었다. (×) - 인조 어영청입니다. 

② 원의 요청으로 일본 원정에 참여하였다. (×) - 여몽연합군입니다.

③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편성되었다. (×) - 별무반입니다.

④ 진도에서 용장성을 쌓고 몽골에 대항하였다. (○) - 몽골과 굴욕적인 강화가 진행되고 개경 환도가 결정되자, 이에 반발한 삼별초는 대몽 항쟁을 지속하였습니다.

⑤ 응양군과 용호군으로 구성된 국왕의 친위 부대였다. (×) - 고려의 중앙군은 2군 6위로 편제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6

 

풀이에 대한 접근) 원 순제의 황후, 기철, 몽골어, 응방 등에서 원 간섭기이다. 

 

① 왕조 교체를 예언하는 정감록이 유포되었습니다. (×) - 19세기 조선후기입니다. 

② 대각국사 의천이 해동 천태종을 개창하였습니다. (×) - 고려 전기입니다.  

③ 지배층을 중심으로 변발과 호복이 유행하였습니다. (○) - 고려에서는 지배층을 중심으로 변발과 호복(몽골식 복장)이 유행하였습니다. 

④ 가혹한 수탈에 저항하여 망이 · 망소이가 봉기하였습니다. (×) - 고려 무신집권시기입니다.

⑤ 상민층이 납속과 공명첩을 활용하여 신분 상승을 꾀하였습니다. (×) - 조선 후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7

 

① 신미양요 때 미군이 탈취하였다. (×) - 신미양요 때, 어재연이 이끄는 광성보가 수륙 양면의 포격을 받아 대파됨으로써 사실상 강화도를 미국에 내주었으며, '수'(帥) 자 기를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②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금속 활자본이다. (○) - 직지심체요절은 고려 말에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된 금속 활자본으로 전세게에 남아있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③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제작하였다. (×) - 초조대장경입니다.

④ 장영실, 이천 등이 제작한 활자로 인쇄하였다. (×) - 갑인자입니다.

⑤ 불국사 삼층 석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8

 

풀이에 대한 접근) 경복궁 작명, 제1차 왕자의 난 때 살해, 불씨잡변 등에서 정도전이다. 

 

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 - 조선 중종 때 풍기 군수 주세붕입니다.

② 일본에 다녀와서 해동제국기를 편찬하였다. (×) - 신숙주입니다.

③ 성학십도를 지어 군주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하였다. (×) - 퇴계 이황입니다.  

④ 조선경국전을 저술하여 통치 제도 정비에 기여하였다. (○) - 정도전입니다. 

⑤ 경세유표를 집필하여 국가 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다. (×) - 정약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19

 

풀이에 대한 접근) 이시애의 난, 호패법 재실시 등에서 세조이다.

 

①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를 주조하였다. (×) - 조선 태종입니다.

② 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 - 세조입니다. 

③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였다. (×) - 성종입니다.

④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일본과의 무역을 재개하였다. (×) - 광해군입니다.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을 빌미로 갑자사화를 일으켰다. (×) - 연산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68-20

 

풀이에 대한 접근) 일본군, 평양성 전투 등에서 임진왜란이다.

 

① 나선 정벌의 전적지를 검색한다. (×) - 조선 효종 때입니다.   

② 북학론이 끼친 영향을 파악한다. (×) - 병자호란 이후입니다. 

③ 명량 해전의 승리 요인을 분석한다. (○) - 울돌목(명량해협)의 지형과 조수를 이용하여 12(+1)척의 배로 130여 척의 적선을 격파(명량 해전)하였습니다. 

④ 삼정이정청의 활동 내용을 찾아본다. (×) - 임술농민봉기의 결과입니다. 

⑤ 4군과 6진을 개척한 과정을 알아본다. (×) - 조선 세종 때 여진족과의 관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