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풀이에 대한 접근) 호가 남명에서 조식이다.
① 곽재우, 정인홍 등의 제자를 배출하였다. (○) - 조식의 제자들로는 곽재우, 정인홍 등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북인을 형성하였습니다.
②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거중기를 설계하였다. (×) - 정약용입니다.
③ 위훈 삭제를 주장하여 훈구 세력의 반발을 샀다. (×) - 조광조입니다.
④ 북학의를 저술하여 수레와 배의 이용을 권장하였다. (×) - 박제가입니다.
⑤ 양명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 - 정제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키워드) '토지의 비옥도와 풍흉에 따라 조세를 징수하는 내용의 공법' 등에서 세종대왕이다.
①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 - 태종입니다.
② 각지의 농법을 작물별로 정리한 농사직설이 간행되었다. (○) - 세종입니다.
③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초계문신제가 시행되었다. (×) - 정조입니다.
④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망라한 동의보감이 완성되었다. (×) - 광해군입니다.
⑤ 전국의 지리, 풍속 등이 수록된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었다. (×) - 성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고추, 담배, 상평통보, 산대놀이 등에서 조선 후기이다.
① 벽란도에서 인삼을 사는 송의 상인 (×) - 고려시대입니다.
② 호랑이를 소재로 민화를 그리는 화가 (○)
③ 광산 노동자에게 품삯을 나눠주는 덕대 (○)
④ 여러 장시를 돌며 물품을 판매하는 보부상 (○)
⑤ 저잣거리에서 영웅 소설을 읽어주는 전기수 (○)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탕평비, 신문고, 준천사, 연잉군 등에서 영조이다.
① 통치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 -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입니다.
② 왕권 강화를 위해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 - 정조입니다.
③ 각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 6만여 명을 해방하였다. (×) - 순조입니다.
④ 어영청을 중심으로 국방력을 강화하고 북벌을 추진하였다. (×) - 효종 때입니다.
⑤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군역 부담을 줄여주고자 하였다. (○) - 영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도승지, 은대 등에서 승정원이다.
① 수도의 행정과 치안을 맡아보았다. (×) - 한성부입니다.
② 재상들이 합의하여 국정을 총괄하였다. (×) - 의정부입니다.
③ 반역죄, 강상죄를 범한 중죄인을 다스렸다. (×) - 의금부입니다.
④ 왕의 비서 기관으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 - 승정원입니다.
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임시 기구로 설치되었다. (×) - 비변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상복 둘째 아들 (효종) 등에서 예송 논쟁이다.
④ (라) (○) - '사화 - 예송 - 환국'의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가로로 긴 건물, 왕조 국가의 상징 등에서 종묘이다.
① 경내에 조선 총독부 청사가 세워졌다. (×) - 경복궁입니다.
②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 - 종묘입니다.
③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 성균관입니다.
④ 일제 강점기에 창경원으로 격하되기도 하였다. (×) - 창경궁입니다.
⑤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 - 사직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역관, 통역 등에서 통역에 관한 선택 제시문을 찾아본다.
① 사간원에서 간쟁을 담당하였어. (×) - 어사대입니다.
② 매매, 상속, 증여의 대상이었어. (×) - 천민 중 대부분을 차지한 노비는 일반적으로 사노비를 의미하며, 재산으로 취급되었으므로 매매, 상속, 증여의 대상이었습니다.
③ 수군, 봉수 등 천역에 종사하였어. (×) - 상민 중에도 천역을 담당하는 최하위 계층이 있었는데, 이들을 신량역천이라 하였으며 수군, 봉수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④ 수령을 보좌하면서 향촌 실무를 담당하였어. (×) - 조선 시대에 중류층인 향리입니다.
⑤ 사역원에서 노걸대언해 같은 교재로 교육받았어. (○) - 조선 시대에 사역원에서는 외국어의 통역과 번역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송악, 개주 등에서 개성이다.
① 고려 태조 왕건이 도읍으로 삼았다. (○) - 왕건은 고구려 계승 이념을 바탕으로 고려를 건국(918)하였으며, '천수'라는 독자적 연호를 세우고 자신의 세력 근거지였던 송악(개성)으로 천도(919)하였습니다.
② 원의 영향을 받은 경천사지 십층 석탑이 축조되었다. (○) - 개성에 있었습니다. 현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③ 조선 후기 송상이 근거지로 삼아 전국적으로 활동하였다. (○) - 조선 후기에 성장한 송상(개성상인)은 전국에 송방이라는 지점을 설치하고 활동기반을 강화하였습니다.
④ 일제 강점기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 위에서 고공 농성을 하였다. (×) - 강주룡은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평양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농성을 벌였습니다. (1931) 한국 최초의 여성노동운동가로 평가받습니다.
⑤ 북위 38도선 분할 이후 남한에 속했다가 정전 협정으로 북한 지역이 되었다. (○) - 개성은 38도 이남에 있어서 6.25 전쟁 전에는 남한에 속해 있었다가, 전쟁 후에는 북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운요호, 일본 등에서 강화도 조약이다.
① 천주교 포교가 허용되었다. (×) - 조불 수호 통상 조약입니다.
② 갑신정변의 영향으로 체결되었다. (×) - 조선과 일본은 한성 조약을 체결하였고, 청과 일본은 텐진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③ 일본 측의 해안 측량권이 인정되었다. (○) - 강화도 조약에는 세 항구(부산, 원산, 인천(제물포)) 개항, 해양 측량권 인정, 치외법권 인정(영사 재판권) 등의 불평등 조항이 담겨 있습니다.
④ 통신사가 처음 파견되는 계기가 되었다. (×) - 개화 정책의 일환으로 강화도 조약 이후 일본에 수신사를 파견하였습니다.
⑤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권을 최초로 규정하였다. (×)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4.30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4.04.29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4.04.27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8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0) | 2024.04.2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67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0)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