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by joocabin 2025. 3. 12.
728x90
반응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73-21

 

풀이에 대한 접근)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아들 수양대군, 훈민정음 창제에서 세종임을 알 수 있다. 세종은 아들 수양대군에게 한글로 석보상절을 편찬하도록 하였다. 또 한글 작동 실험을 위해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을 편찬하였다.

 

① 수도 방어를 이해 금위영을 설치하였다. (×) - 조선 숙종 때입니다.

② 음악 이론 등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을 완성하였다. (×) - 조선 성종 때입니다. 

③ 한양을 기준으로 한 역법서인 칠정산을 간행하였다. (○) - 조선 세종 때입니다.

④ 역대 문물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를 편찬하였다. (×) - 조선 영조 때입니다. 

⑤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지를 지급하는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 - 조선 세조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2

 

풀이에 대한 접근) 숙종은 임진왜란때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황제를 제사 지내기 위해 창덕궁 내에 대보단을 건립하였다. 

 

①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 - 조선 효종 때입니다.

② 하정사, 천추사 등 사절단을 보내었다. (○) - 조선은 명에 정기적으로 하정사·성절사 ·천추사 ·동지사 등의 외교 사절을 파견하였습니다. 

③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정하였다. (×) - 조선 숙종 때입니다. 

④ 한성에 동평관을 두어 무역을 허용하였다. (×) - 조선은 왜의 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한성에 동평관이라는 객관을 설치하였습니다.

⑤ 공녀를 보내기 위해 결혼도감을 설치하였다. (×) - 고려 원 간섭기 때 원에 보낼 공녀를 선발하기 위해 결혼도감을 설치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3

 

풀이에 대한 접근) 조의제문(무오사화), 중종반정으로 폐위에서 연산군임을 알 수 있다. 

 

① 이괄의 난이 일어나 공주로 피란하다 (×) - 조선 인조 때 이괄이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켜 한양을 점령하였으나, 관군에 진압되었습니다.  

② 단종의 복위를 꾀한 성삼문 등을 처형하다 (×) - 조선 세조 때입니다. 

③ 영창 대군을 죽이고 인목 대비를 유폐하다 (×) - 조선 광해군 때입니다. 

④ 위훈 삭제를 주장한 조광조 일파를 제거하다 (×) - 조선 중종 때입니다. 

⑤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을 빌미로 신하들을 숙청하다 (○) - 조선 연산군 때 폐비 윤씨 사건을 빌미로 김굉필 등의 사림과 일부 훈구 세력이 처형되었습니다.(갑자사화)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4

 

풀이에 대한 접근) 서울 주변의 궁궐과 성곽에 대한 내용이다. 

 

① (가) - 정봉수가 후금의 침입에 맞서 싸웠다. (×) - 정묘호란 때 정봉수와 이립이 용골산성에서 후금에 항쟁하였습니다. 

② (나) - 김준룡이 근왕병을 이끌고 적장을 사살하였다. (×) - 병자호란 때 김준룡이 용인 광교산에서 청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③ (다) - 신립이 배수의 진을 치고 전투를 벌였다. (×) - 임진왜란 때 신립이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항전하였습니다. 

④ (라) -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란하여 항전하였다. (○) - 병자호란 때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여 항전하였습니다. 

⑤ (마) - 임진왜란 때 권율이 일본군을 크게 물리쳤다. (×) -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대파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5

 

풀이에 대한 접근) 지방 고을의 유력한 집안 중 서울에 살면서 벼슬하는 자들의 모임에서 경재소(유행소 통제기구)임을 알 수 있다. 

 

①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3사로 불렸다. (×) - 홍문관은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로 불리었습니다.

② 소속 관원을 은대 학사라고도 칭하였다. (×) - 승정원의 승지를 은대 학사라고도 칭하였습니다.

③ 서얼 출신 학자들이 검서관에 등용되었다. (×) - 정조 때 서얼 출신인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등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었습니다. 

④ 관할 유향소 임원의 임명권을 행사하였다. (○) - 경재소는 관할 유향소 임원(좌수, 별감)의 임명권을 행사하였습니다.

⑤ 대사성 이하 좨주, 직강 등의 관직을 두었다. (×) - 성균관은 대사성을 중심으로 좨주, 직강 등의 관직을 두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6

 

풀이에 대한 접근) 겸재, 진경 산수화(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사실적으로 표현함)에서 정선임을 알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등이 있다.

 

(○) - 정선의 해약전신첩입니다. 정선의 진경 산수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특유의 다양한 필묵법과 옅은 청록색의 선염법이 고른 수준으로 능숙하게 구사되어 금강산의 진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내었습니다.   

(×) - 김홍도의 산수인물도입니다. 거대한 절벽과 폭포, 그리고 배를 탄 어부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 - 신윤복의 월하정인입니다. 달이 떠 있는 한밤중에 길모퉁이 담장 옆에서 젊은 남녀가 은밀히 만나는 모습을 묘사하였습니다.

(×) - 강세황의 영통동구도입니다. 거대한 바위와 산의 모습을 서양 수채화 기법과 원근법 등을 접목하여 실감 나게 표현하였습니다.

(×) - 안견의 몽유도원도입니다. 안견이 안평 대군이 꿈에서 본 산천을 묘사한 것으로,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조화롭게 구현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7

 

풀이에 대한 접근) 임술 농민 봉기는 조선 철종 때 일어났다. 1862년 몰락 양반인 유계춘과 농민들이 경상우병사 백낙신의 수탈에 저항하여 진주에서 봉기(진주 농민 봉기)하였고, 이를 계기로 농민 봉기가 확산되어 전국 곳곳에서 삼정의 문란에 반발하는 봉기가 일어났다.(임술 농민 봉기)

 

① 윤지충 등이 처형된 신해박해가 일어났다. (×) - 조선 정조 때 윤지충과 권상연이 신주를 모시지 않고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르다가 고발되어 처형되었습니다. (신해박해)  

②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 조선 고종 때(흥선 대원군 집권기),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③ 국왕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이 창설되었다. (×) - 조선 정조 때입니다.

④ 경신환국 등 여러 차례 환국이 발생하였다. (×) - 조선 숙종 때입니다.

⑤ 박규수의 건의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다. (○) - 조선 철종 때 임술 농민 봉기가 일어나자, 정부는 박규수를 안핵사로 파견하고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8

 

풀이에 대한 접근) 선무군관포에서 영조 때 실시한 균역법이다.

 

① 토산물을 쌀,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한 원인 (×) - 조선 광해군 때 방납의 폐단 등을 시정하기 위해 토산물을 쌀,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대동법을 시행하였습니다.

② 균역법 실시로 인한 세입 감소분의 보충 방안 (○) - 균역법 실시로 줄어든 군포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선무군관포를 거두었습니다.

③ 시전 상인의 특권을 축소한 신해통공 단행 배경 (×) - 조선 정조 때 상인들의 자유로운 상업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신해통공을 반포하여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습니다.

④ 전세를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차등 부과한 이유 (×) - 조선 세종 때 전품을 6등급으로, 풍흉을 9등급으로 나누어 조세를 걷는 공법을 시행하였습니다.

⑤ 설점수세제를 시행하여 민간의 광산 개발을 허용한 목적 (×) - 조선 후기 수공업의 발달로 그 원료인 광물의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광산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민간의 광산 채굴을 허가라고 세금을 받는 설점수세제를 시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29

 

풀이에 대한 접근) 김옥균, 홍영식 등이 일으킨 변고에서 갑신정변임을 알 수 있다. 

 

①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하였다. (○) - 갑신정변은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로 끝났습니다.

② 전개 과정에서 홍범 14조가 반포되었다. (×) - 2차 갑오개혁 때 고종은 개혁의 기본 강령인 홍범 14조를 반포하였습니다.

③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는 계기가 되었다. (×) - 1880년 정부는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통리기무아문과 12사를 설치하였습니다.

④ 조일 통상 장정이 체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 조일 통상 장정은 갑신정변 이전인 1883년에 체결되었습니다.

⑤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 (×) - 임오군란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73-30

 

풀이에 대한 접근) 신분 질서가 크게 동요한 시기, 향전 발생에서 조선 후기임을 알 수 있다. 

 

① 빈민을 구휼하는 제위보의 관리 (×) - 고려 광종 때입니다.

② 시사(詩社)에서 시를 낭송하는 중인 (○) - 조선 후기입니다. 

③ 상평통보로 물건을 거래하는 보부상 (○) - 조선 후기입니다.

④ 세책가에서 홍길동전을 빌리는 부녀자 (○) - 조선 후기입니다.

⑤ 송파장에서 산대놀이 공연을 하는 광대 (○) - 조선 후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