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풀이에 대한 접근) (가) 조병갑→고부 민란(1894.1) : 고부 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동원하여 불필요한 만석보를
(나) 전주성 함락(1894.4) : 백산 봉기 이후, 동학 농민군은 황토현, 장성 황룡촌 등지에서 관군을 격파한 후 계속 북상하여 마침내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① 남접과 북접이 논산에서 연합하였다. (×) - 제2차 봉기 때 전봉준이 이끄는 남접군과 손병희가 이끄는 북접군이 논산에서 합세하여 연합 부대를 구성하였습니다. (1894.9)
② 최제우가 혹세무민의 죄로 처형되었다. (×) - 1864년 최제우가 혹세무민(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현혹한다)의 죄목으로 처형되었습니다.
③ 일본이 군대를 동원하여 경복궁을 점령하였다. (×) - 전주 화약 이후 조선 정부는 청·일 양국에 군대 철수를 요청하였으나, 일본은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무력으로 경복궁을 점령하였습니다.(1984.6)
④ 농민군이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에 승리하였다. (○) - 장성 황룡촌 전투는 전주성 점령 직전에 일어났습니다.(1894.4)
⑤ 우금치에서 농민군이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 - 제2차 봉기 때 동학 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 및 정부군에게 크게 패하였습니다.(1894.11)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시전상인의 외국상인 퇴거운동(외국상인의 한성침투)의 배경을 묻고 있다.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1882)의 결과이다.
①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 - 일제가 약탈한 토지를 관리하고 일본인의 이주를 지원하기 위해 1908년 설립한 식민지 착취 기관입니다.
② 일제가 황무지 개간권을 요구하였다. (×) - 러일 전쟁 중인 1904년입니다. 보안회는 집회를 열고 이를 반대하는 운동을 펼쳐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철회시켰습니다.
③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이후, 외국 상인의 내륙 침투가 본격화되었습니다.
④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시행되었다. (×) - 제1차 한일 협약에 따라 재정 고문으로 임명된 메가타에 의해 1905년 시행된 것입니다.
⑤ 회사 설립을 허가제로 하는 회사령이 공포되었다. (×) - 1910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일본에서 들여온 차관을 갚기 위해 일어난 국채 보상 운동(1907)이다.
① 대한매일신보의 지원을 받아 확산되었다. (○) - 국채 보상 운동은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등 각종 언론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② 조선 총독부의 탄압과 방해로 실패하였다. (×) - 국채 보상 운동은 통감부의 탄압과 방해로 실패하였습니다. 조선 총독부는 국권 피탈 직후인 1910년에 설치되었습니다.
③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요구하였다. (×) - 형평 운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④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에서 모금 활동을 주도하였다. (×) - 민립 대학 설립 운동입니다.
⑤ 일본, 프랑스 등의 노동 단체로부터 격려 전문을 받았다. (×) - 원산 총파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을사늑약(1905)으로 대한제국 외교권이 박탈당하였다.
① 러일 전쟁 중에 체결되었다. (×) - 을사늑약은 러일 전쟁이 종결된 직후에 체결되었습니다.
②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다.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에서 최혜국 대우를 최초로 규정하였습니다.
③ 천주교 포교 허용의 근거가 되었다. (×) - 조프 수호 통상 조약(1886)에서 천주교 포교를 허용하였습니다.
④ 통감부가 설치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 을사늑약 체결 이후 일본은 통감부를 설치하고, 초대 통감으로 이토 히로부미를 임명하였습니다.
⑤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파견되는 배경이 되었다. (×) - 일본은 러일 전쟁 중인 1904년 제1차 한일 협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재정 고문으로 메가타, 외교 고문으로 스티븐스를 파견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전차 개통의 일로 대한제국 시기 한성전기회사를 만들어 전차를 처음 개통하였다.(1899)
① 척화비를 세우기 위해 돌을 다듬는 석공 (×) - 1871년 신미양요 이후 흥선 대원군은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건립하여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강하게 천명하였습니다.
②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고 있는 영국 군인 (×) - 1885년 영국은 러시아를 견제한다는 구실로 거문도를 점령하였습니다.
③ 연무당에서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는 관리 (×) - 1876년 강화도 연무당에서 조선 대표 신헌과 일본 대표 구로다 사이에 강화도 조약(조일 수호 조규)이 체결되었습니다.
④ 보빙사의 일원으로 미국에 파견되는 역관 (×) - 1883년 조선은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과 미국 공사 부임에 대한 답례로 미국에 보빙사를 파견하였습니다.
⑤ 경부선 철도 개통식을 취재하는 신문기자 (○) - 1905년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선이 개통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서간도 지역에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가 설립되었다. 서간도 지역의 민족운동에 대해 묻고 있다.
① 한인 자치 기구인 경학사를 조직하였다. (○) - 1911년 서간도에서 이회영, 이상룡, 이동녕 등의 신민회 인사들이 한인 자치 단체인 경학사를 조직하였습니다.
② 유학생을 중심으로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 - 1919년 일본 도쿄 유학생들은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3·1 운동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③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 - 1914년 미국 하와이에서 박용만이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④ 대한 광복군 정부를 수립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 - 1914년 러시아 연해주에서 권업회의 인사들이 효과적인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이상설과 이동휘를 정·부통령으로 하는 대한 광복군 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⑤ 독립군 비행사 양성을 위해 한인 비행 학교를 설립하였다. (×) - 1920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미국에 한인 비행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비행사를 육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교원이 칼을 차고 수업, 헌병이 일반 경찰 업무, 태형에서 1910년대 무단 통치임을 알 수 있다.
① 국가 총동원법을 공포하였다. (×) - 1938년입니다.
② 산미 증식 계획을 시행하였다. (×) - 1920년입니다.
③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 - 1910년입니다.
④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을 강요하였다. (×) - 1937년입니다.
⑤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제정하였다. (×) - 1941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어린이 날 제정 (소년 운동)에서 1921년 방정환의 주도로 창립된 천도교 소년회에 대한 설명이다.
①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였다. (×) - 조선어 학회입니다.
② 기관지로 진단 학보를 발행하였다. (×) - 진단 학회입니다.
③ 오산 학교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 - 신민회입니다.
④ 김기전, 방정환 등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였다. (○) - 천도교 소년회입니다.
⑤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여권통문을 발표하였다. (×) - 서울의 북촌 양반 부인들은 최초의 여성 인권 선언문인 여권통문을 발표하여 여성의 교육받을 권리와 참정권 등을 주장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농촌 진흥 운동, 남면 북양 정책에서 1930년대 경제 침탈에 대한 내용이다.
① 근우회 창립총회에 참여하는 학생 (×) - 1927년입니다.
② 경성 제국 대학 설립을 추진하는 관리 (×) - 1924년입니다.
③ 원각사에서 연극 은세계를 공연하는 배우 (×) - 1908년입니다.
④ 서울 진공 작전에 참여하는 13도 창의군 의병 (×) - 1907년 정미의병 당시 전국의 의병 부대들이 연합하여 13도 창의군을 결성하고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습니다.
⑤ 혁명적 농민 조합을 결성하여 일제에 저항하는 농민 (○) - 1930년대에 일어났던 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의 충돌 사건, 신간회에서 진상 조사단 파견에서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9)임을 알 수 있다.
①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일어났다. (×) - 6·10 만세 운동입니다.
② 조선어 학회가 해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조선어 학회는 1942년 일제가 조작한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강제 해산되었습니다.
③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 - 6·10 만세 운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④ 전국적인 시위와 동맹 휴학으로 확산하였다. (○) -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전국적인 시위와 동맹 휴학으로 확산되었습니다.
⑤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 - 3·1 운동 이후 일제는 무력만으로는 한국을 지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폭압적인 무단 통치를 문화 통치로 전환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4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1) | 2025.06.06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3) | 2025.03.1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5.03.1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0) | 2025.03.1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