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활용능력/1급 필기시험

Access 하위 폼의 개념과 활용 정리

by joocabin 2025. 6. 25.
728x90
반응형

Access 하위 폼의 개념과 활용 정리

Access에서 하위 폼(Subform, 서브폼)이란 기본 폼(Main Form) 안에 포함된 또 다른 폼을 말합니다. 보통 상하 구조로 구성되며, 위쪽에 있는 폼은 기본 폼, 아래쪽 폼이 하위 폼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1. 하위 폼의 기본 개념

- 기본 폼 안에 삽입되는 폼이 하위 폼입니다.
- 보통 1:다 관계에서 기본 폼이 ‘1’, 하위 폼이 ‘다’에 해당합니다.
- 하위 폼에는 기본 폼의 현재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만 표시됩니다.
- 기본 폼이 단일 폼 형식이어도, 하위 폼은 데이터시트, 단일 폼, 연속 폼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1-218

2. 하위 폼의 특징 및 제한

- 기본 폼 하나당 여러 개의 하위 폼 삽입 가능
- 하위 폼은 최대 7단계까지 중첩 가능
- 하위 폼을 구성할 때 테이블 간 관계가 없어도 가능
- 단, 기본 폼의 기본 키와 하위 폼의 필드가 데이터 형식이 같거나 호환되어야 함

 

1-219

3. 하위 폼 만들기 절차

방법 ①: 폼 마법사 활용

1. [만들기] 탭 → [폼 마법사] 클릭
2. 첫 번째 테이블에서 필드 선택 (예: 성명, 팀코드 등)
3. 두 번째 테이블도 필드 선택 (예: 팀코드, 팀명)
4. “하위 폼이 있는 폼 만들기” 옵션 선택
5. 하위 폼 형식은 “테이블 형식” 등 지정
6. 제목 입력 후 “폼 정보를 보거나 입력” 선택 → 마침

방법 ②: 하위 폼/보고서 컨트롤 이용

1. 기본 폼 디자인 보기로 이동
2. [양식 디자인] 탭 → 컨트롤 그룹에서 하위 폼/보고서 컨트롤 선택
3. 드래그하여 삽입 → 마법사에서 테이블 또는 쿼리 선택
4. 필드 선택 후 다음 → 목록에서 선택 → 마침

4. 기본 폼과 하위 폼 연결 방법

- 속성 시트 → 데이터 탭 → 기본 필드 연결 / 하위 필드 연결에서 설정
- [작성기] 버튼 클릭 → “하위 폼 필드 연결기” 대화상자에서 연결 설정

설정 조건

- 연결되는 필드의 데이터 형식과 필드 크기가 같거나 호환되어야 함
- 여러 필드 연결 시 세미콜론(;)으로 구분
- “하위 폼 필드 연결기”를 통해 기본 필드, 하위 필드 매핑 가능

 

1-220

5. 조건부 서식 활용

- 조건 만족 시 특정 서식 적용 가능
- 설정 위치: 텍스트 상자 선택 → 서식 탭 → 조건부 서식
- 최대 50개 조건까지 설정 가능
- 다중 조건이 모두 참일 경우, 첫 번째 조건만 적용
- 상수값 또는 수식 결과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조건 설정 가능

 

1-221

6. 시험 대비 주의사항 요약

하위 폼 삽입: 폼 마법사 또는 하위 폼 컨트롤로 삽입

하위 폼 중첩: 최대 7단계까지 가능

연결 조건: 필드 데이터형, 크기 일치 또는 호환 필수

다중 필드 연결: 세미콜론(;) 구분

조건부 서식: 최대 50개, 첫 번째 조건 우선 적용

하위 폼 표현 형식: 단일 폼, 연속 폼, 데이터시트 모두 가능

관계 미설정 가능 여부: 가능하나 연결 필드 형식이 맞아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