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1번~20번)
풀이에 대한 접근) 고창 전투 승리에서 태조 왕건임을 알 수 있다. 고창 전투는 930년 고려와 후백제가 고창(지금의 경북 안동)에서 벌인 전투로, 이 전투에서 왕건의 고려군은 후백제군과 싸워 승리하였다.
①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시켰다. (×) - 고려 문종 때입니다.
② 주전도감을 설치하여 해동통보를 발행하였다. (×) - 고려 숙종 때입니다.
③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 - 고려 광종 때입니다.
④ 청연각과 보문각을 두어 학문 연구를 장려하였다. (×) - 고려 예종 때입니다.
⑤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어 관리의 규범을 제시하였다. (○) - 고려 태조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호부, 삼사, 안찰사에서 고려시대임을 알 수 있다.
①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 - 고려 시대입니다.
② 고추, 담배 등이 상품 작물로 재배되었다. (×) - 조선 후기입니다.
③ 시장을 감독으로 관청인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 - 신라 지증왕 때입니다.
④ 광산을 전문적으로 경영하는 덕대가 활동하였다. (×) - 조선 후기입니다.
⑤ 삼남 지방의 농법을 소개한 농사직설이 보급되었다. (×) - 조선 세종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이자겸, 척준경을 유배 보냄, 김부식이 삼국사기 편찬이라는 키워드에서 인종 시기임을 알 수 있다.
① 최충헌이 봉사 10조를 올렸다. (×) - 고려 명종 때입니다.
② 동북 9성이 여진에 반환되었다. (×) - 고려 예종 때입니다.
③ 국자감이 성균관으로 개칭되었다. (×) - 고려 공민왕 때입니다.
④ 묘청 등이 서경에서 난을 일으켰다. (○) - 고려 인종 때입니다.
⑤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 연호가 사용되었다. (×) - 고려 광종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이 사료는 고려 시대 특수행정구역인 명학소에서 일으킨 망이·망소이난(명종, 1176)이다.
① 안동도호부가 설치된 경위를 알아본다. (×) - 고려 멸망 후 당이 평양에 설치하였습니다.
② 특수 행정 구역인 소에 대한 차별을 조사한다. (○) - 특수 행정 구역인 소에 대한 차별로 인해 망이·망소이의 난이 발생하였습니다.
③ 신라 말 호족 세력이 성장하게 된 계기를 살펴본다. (×) - 귀족들의 왕위쟁탈전으로 중앙의 지방통제력이 약해지자, 지방에 독립적인 정치세력인 호족이 성장하였습니다.
④ 통청 운동을 통해 청요직으로 진출한 인물을 검색한다. (×) - 조선후기 서얼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⑤ 경기에 한하여 설치된 과전이 농민에게 미친 영향을 파악한다. (×) - 과전법(공양왕)에서는 농민이 수조권자에게 수확량의 1/2를 내던 병작반수제를 금지하였으며, 수조권을 빌미로 농민의 토지를 빼앗지 못하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 자영농의 경작권을 보장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개경 환도 결정에 반발, 진도·제주도에서 항쟁에서 삼별초의 항쟁임을 알 수 있다.
①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설치되었다. (×) - 고려 정종 때입니다.
②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 - 삼별초에 대한 설명입니다.
③ 원의 요청으로 일본 원정에 참여하였다. (×) - 원간섭기 충렬왕 때입니다.
④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편성되었다. (×) - 숙종 때의 별무반입니다.
⑤ 최영의 지휘 아래 홍산에서 왜구를 격퇴하였다. (×) - 우왕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이승휴가 저술, 중국과 구별되는 역사 인식에서 제왕운기임을 알 수 있다.
① 남북국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 - 유득공의 발해고에서 통일 신라와 발해가 병립한 시기를 남북국 시대로 보아야 한다고 처음으로 주장하였습니다.
② 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 설화를 담았다. (×) - 일연의 삼국유사는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나 전래 기록을 수록하여 우리나라의 고유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습니다.
③ 단군의 고조선 건국 이야기가 수록되었다. (○) - 이승휴의 제왕운기에는 단군의 고조선 건국 이야기가 수록되었습니다.
④ 왕명에 의해 고승들의 전기가 기록되었다. (×) - 각훈의 해동고승전은 왕명에 의해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 승려들의 전기를 정리한 것입니다.
⑤ 본기, 열전 등으로 구성된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되었다. (×) -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유교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기철 세력 숙청, 쌍성총관부 수복은 공민왕의 정책임을 알 수 있다.
①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 - 고려 숙종 때입니다.
② 신돈을 중심으로 전민변정 사업이 추진되었다. (○) - 공민왕은 승려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이 불법으로 빼앗은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강제로 노비가 된 사람을 양인으로 해방시켰습니다.
③ 만적이 개경에서 노비를 모아 반란을 모의하였다. (×) - 고려 신종 때 무신 집권기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④ 최충이 문헌공도를 설립하여 유학 교육에 힘썼다. (×) - 고려 문종 때입니다.
⑤ 이규보가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조한 동명왕편을 지었다. (×) - 고려 명종 때 무신 집권 시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왜구에 대한 고려의 대응을 묻고 있다. 최무선은 화통도감을 건의해 화약무기를 처음 만들었다. 그리고 진포대첩에서 화약무기를 사용해 왜구를 물리쳤다.
① 광군을 조직하여 침입에 대비하였다. (×) - 고려 정종 때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광군을 설치하였습니다.
② 경성과 경원에 무역소를 설치하였다. (×) - 조선 태종 때 여진에 대한 회유책으로 경성과 경원에 무역소를 설치하여 교역을 허용하였다.
③ 박위를 파견하여 근거지를 토벌하였다. (○) - 고려 창왕 때 박위를 파견하여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섬을 정벌하였습니다.
④ 어영청을 중심으로 북벌을 추진하였다. (×) - 조선 효종 때 청을 정벌하기 위해 어영청을 중심으로 북벌을 추진하였습니다.
⑤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팔만대장경을 간행하였다. (×) - 고려 고종 때(최우 집권기) 부처의 힘을 빌려 몽골군을 격퇴하기 위해 강화도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팔만대장경을 간행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대해 묻고 있다.
(가)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편년체 사서이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나) 직지심체요절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으로,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되었다.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다) 조선왕조의궤는 조선 시대 왕실 국가에서 거행된 여러 행사의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책이다.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라) 동의보감은 광해군 때 허준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망라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마) 일성록은 정조가 세손 시절부터 자신의 일상 생활에 대해 성찰하며 쓴 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조 즉위 후에는 규장각 관원에게 일지를 쓰게 함으로써 개인의 일기가 아닌 국사에 관한 공식 기록으로 바뀌었다. 2011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① (가) - 사초와 시정기 등을 종합하여 편찬하였다. (○) - 조선왕조실록입니다.
② (나) -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 - 직지심체요절입니다.
③ (다) - 병인양요 당시 일부가 프랑스군에게 약탈되었다. (○) -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 외규장각에 있던 다수의 의궤를 약탈하였습니다. 외규장각 의궤는 2011년에 임대 형식으로 반환되어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④ (라) - 허준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망라하여 집대성하였다. (○) - 동의보감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⑤ (마) - 국왕의 비서 기관에서 발행한 관보이다. (×) - 국왕의 비서 기관은 승정원으로, 승정원에서 발행한 관보는 조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⑤ 번입니다.
풀이에 대한 접근)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을 주도함, 조선경국전 저술에서 정도전임을 알 수 있다.
① 불씨잡변을 지어 불교를 비판하였다. (○) - 정도전은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습니다.
② 계유정난을 계기로 정계에서 축출되었다. (×) - 김종서, 황보인입니다.
③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 - 주세붕입니다.
④ 일본에 다녀와서 해동제국기를 편찬하였다. (×) - 신숙주입니다.
⑤ 성리학의 개념을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를 지었다. (×) - 이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번입니다.
★ 개인적으로 만드는 기출문제 해설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다가 오류사항이 있으실 경우에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5.03.12 |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21번~30번) (0) | 2025.03.12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3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1번~10번) (2) | 2025.03.1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41번~50번) (1) | 2025.01.26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제72회 심화 기출문제 해설 (31번~40번) (0) | 2025.01.22 |